본 연구는 보육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대한 코칭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 다. 보육교사-영아 상호작용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는 강숙현(1994)이 개발한 ‛한국판유아교육 프로그램 평가척도’ 중에서 영아기 프로그램(교사-영아 간 상호작용)을 홍근민(1997)이 5점 척 도로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0세-2세반 보육교사 20명, 8회기로 150분간씩 코칭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연구에서 실시한 코칭프로그램은 영아기 발달과 보육교사의 역할, 코칭의 이해, 코칭의 기술, 코칭 대화모델을 습득하고 실습하는 과정으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 코칭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이전의 보육현장에서 교사는 주로 일방적이고, 지시적인 상호작용을 하였지만 코칭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교사는 영아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고 원하는 상태에 있도록 지지하고 격려하는 상호작용을 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코칭의 중립 언어를 미래 지향적인 질문으로서 사용하면서 영아의 내면에 잠재된 자원을 이끌어 내어 영아 스스로 계획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데 매우 효과적임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영아 상호작용을 증진을 돕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추후 관련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반을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coaching program on the interactions between child care teachers and infants. For this study, the 20 child care teachers(2 of 1 year old class teachers, 8 of 18 months old class teachers, and 10 of 30 months old class teachers) working at the child care center in Seoul Mapogu has participated in the coaching program twice a week for 150 minutes, attending 8 sessions. The coaching program of this study includes early childhood development and role of child care teachers, understanding of coaching, and coaching dialogue model. For the measurement, within the ‘Korea Assessment Profile for Early Childhood Programs’ developed by Kang (1994), revised items by Hong (1997) regarding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infants was used to evaluate the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infa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before participating in this program, most interactions between child care teachers and infants were teacher-centered, one-sided and directive. But after the program, their interactions were more supportive and encouraging for infants to solve their matters on their own. It shows that using coaching’s neutral language and future oriented questions of this program would be effective for children to plan and solve something by themselves through encouraging their potentials to be performed. The child care teachers running this program could bring infants’ potentials out, see the problem on infants’ viewpoints, and interact with infants to help them to solve their problems on their own. It also suggests that new way of helping interactions between child care teachers and inf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