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백두산 화산재 확산과 지형고도의 영향에 관한 수치적 연구

Numerical Study on the Transport of Volcanic Ash Caused by the Obstacle Effect of Baekdu Mountai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164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방재학회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초록

겨울철 한반도 인공위성 영상을 보면, 백두산을 지나는 공기의 흐름이 동해 해상에서 시·공간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구름을 발달시킴을 볼 수 있다. 구름 형태의 다양성은 백두산의 표고(2.7km)와 대기의 안정도에 기인한다. 만약, 백두산 화산 분화가 발생할 경우 백두산의 산악효과에 의해 화산재의 시공간 분포도 구름처럼 다양한 형태를 보일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백두산 풍하측에 발달하는 산악파가 화산재의 시공간적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고분해능 수치모델을 사용하여 연구하였다. 즉, 수치모델을 사용하여 산 높이가 화산재의 풍하측 확산에 미치는 영향을 시뮬레이션 하여 그 특징을 분석하였다. 수치 시뮬레이션의 초기 조건으로서 백두산 주변의 대기흐름은 Froude 수로서 정의하였다. 여기서, Froude 수 (Fr ≡ U/NH)는 유입풍속(U), 산 높이(H), 그리고 부력 진동수(N)의 함수이다.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백두산 풍하측에서 발생하는 산악파에 의한 공기 소용돌이 세기가 화산재의 장거리 전송을 결정하며, 그 소용돌이 세기는 Froude 수에 의해 결정된다. 즉, Fr < 0.2 일 때 Karman vortex가 형성되어 화산재의 풍하측 확산은 저해한다. 그러나, Fr가 1에 가까울수록 화산재는 풍하측으로 멀리 확산될 수 있다.

저자
  • 강성대(㈜그린시뮬레이션 대표) | Kang, Sung-Dae 교신저자
  • 김성완(정회원, 한중대학교 공학부 교수) | Kim, Sung-Wan
  • 박성현(정회원, 한중대학교 공학부 교수) | Park, Sung-Hyun
  • 주광수(정회원, 한중대학교 공학부 교수) | Ju, Kwang-Su
  • 장은숙(정회원, 한중대학교 공학부 교수) | Jang, Eun-Su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