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유역별 특수상황을 고려한 중소하천 홍수예경보 모형 연구

Flood Prediction and Warning Model Considering Abnormal Subbasin Condition for Small Watershe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170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방재학회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초록

하천범람에 의한 홍수피해를 저감하기 위하여 중소하천에 적용하기 위한 홍수예경보 모형이 개발되고 있으나, 유역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일관된 기준을 적용하여 홍수예경보 모형이 구축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우-유출 관계와 유량-수위 관계에서 특수한 상황인 유역을 대상으로 홍수예경보 모형을 개발하였다. 강우-유출관계 특수성은 도시유역 등 인위적인 우수유출이 있는 경우를 나타내며, 유량-수위 관계 특수성은 배수위에 의한 영향을 받는 경우를 나타낸다. 낙동강 유역에서 홍수위험지수를 고려하여 10개소의 특수상황 소유역을 선정하였으며, 그 중 4개 유역에 개발된 모형을 적용하여 경보강수량을 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특수상황을 고려한 홍수예경보 모형은 중소하천 홍수예경보 모형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홍수피해를 저감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저자
  • 이정호(정회원, 한반대학교 토목공학과 교수) | Lee, Jung Ho
  • 박무종(정회원, 한서대학교 토목공학과 교수) | Park, Moo Jong 교신저자
  • 주진걸(정회원, 전북과학대학교 건축토목조경계열 교수) | Joo, Jin Gul
  • 송영석(정회원, 한서대학교 토목공학과 박사과정) | Song, Sung Seok
  • 송양호(정회원, 한밭대학교 토목공학과 석사) | Song, Yang 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