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lationship between Egoresilience, Clinical Performance, and Clinical Practice Stress among Nursing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이 임상실습에서 경험하게 되는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 임상수행능력 간의 관계를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임상수행능력 관련 요인을 파악하고, 나아가 임상수행능력이 뛰어난 간호사를 양성하는 데 필요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을 도울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코자 한다. 본 연구의 조사는 2014년 9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임상실습 경험을 한 간호대학생 3-4학년 213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설문조사는 자아탄력성, 임상실습 스트레스, 임상수행능력에 관한 내용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 임상수행능력과 자아탄력성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임상실습 만족도, 간호전공 만족도, 자아탄력성 등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영향요인은 자아탄력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연구결과를 봤을 때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 증진을 위해서는 자아탄력성의 증진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역시 이런 사실을 반영하여야 하며, 특히 비(非)교과프로그램의 제공을 통해 전문 간호사로서의 역량을 함양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ego-resilience, stress in clinical practice and clinical performance of nursing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213 nursing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2014 to December 2014.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18.0.
The mean scores for ego-resilience 39.8(35), stress in clinical practice 71.6(72), clinical performance 147.6(135). Ego-resilie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ir health status, satisfaction with their university life, clinical practice and Nursing major. Stress levels in clinical practice and clinical performanc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satisfaction with their clinical practice and Nursing major. The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Ego-resilience and clinical performance. Ego-resilience and satisfaction with Nursing major were predictors of clinical performance.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re is a need to improve ego resilience to lessen stress in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students and improve their clinical performance. The results should be reflected in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curricul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