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추출 방법에 따른 비파엽 추출물의 미백 및 항염활성에 관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Whitening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riobotrya Japonica Leaf Extracts with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207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대한화장품학회지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대한화장품학회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초록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화장품 소재 개발을 위하여 비파엽 추출물을 제조하고 효소 및 세포 활성평가를 진행하였다. 활성평가는 tyrosinase 측정법을 이용한 미백 효능, NO 측정법을 이용한 항염 효능에 대한 활성 등을 분석하였다. 미백 효능 관련 tyrosinase 활성 저해는 10% 농도의 비파엽 초임계 추출물에서 미약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항염 효능 관련 NO 활성 저해 분석 결과, 초임계 추출물, 에탄올 환류 추출물, 열수 추출물의 순서로 NO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MTT assay를 실시한 결과, 70% 에탄올 환류 추출물 5% 처리를 제외하고는 모든 농도에서 세포독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미백 효능 관련 멜라닌 생성 저해는 5% 처리 농도에서 30%, 70% 에탄올 환류 추출물이 강하게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들로부터 비파엽 추출물 제조를 통한 우수한 항염 효능 및 미백 효능 관련 활성을 나타내는 추출조건을 도출하였으며, 향후 기능성 화장품 소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용 자료로서의 역할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we prepared Eriobotrya japonica leaf extracts by several extraction processes and then evaluated their biological activities for their potential application as a new raw material of functional cosmetic. Their whitening effects were measured by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ies,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were determined by inhibitory activities of nitric oxide (NO) production. Among the several extracts obtained from E. japonica leaf, supercritical fluid extract showe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ies at the concentration of 10%. Inhibitory activity on NO production effect related to anti-inflammatory efficacy was in the order: supercritical fluid extract > ethanol extract > hot water extrac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MTT assay, cell cytotoxicity was not observed at all concentrations except for a 5% concentration of the 70% ethanol extract. For whitening effects, 30% ethanol and 70% ethanol extract showed mushroom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at the concentration of 5%.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E. japonica leaf extracts could have the functional effects when they are added as ingredients in cosmetics.

저자
  • 주철규(대봉엘에스(주) 천연물소재응용연구소) | Chul Gue Joo
  • 박진오(대봉엘에스(주) 천연물소재응용연구소) | Jin Oh Park
  • 박정옥(대봉엘에스(주) 천연물소재응용연구소) | Jung Ok Park 주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