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외국인 혐오증에 가정요인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지역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1,878명의 응답을 분석에 포함시켰으며, 외국인 혐오증 척도를 개발하고 다중회귀분석을 적용하여 초등학생의 가정요인이 외국인 혐오증과 어떠한 관계를 맺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초등학생의 외국인 혐오도에는 부모 학력, 부 종교, 부모 정치성향, 부모와의 친밀도, 가족구조, 거주지, 성별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 혐오도는 부모와의 관계가 친밀할수록, 편부·편모·기타 가정의 학생이 양부모 가정 학생에 비해, 농어촌에 거주하는 학생이 도시에 거주하는 학생에 비해,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학력과 부모의 정치성향은 아버지 요인과 어머니 요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반면, 부직업, 모종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외국인 혐오도를 약화시키는 데 부모와의 관계가 중요하다는 것을 밝혀주고 있으며, 아울러 외국인 혐오증 개념이 우리나라에서 주된 연구 주제가 되고 있는 다문화 수용성과는 차별화된 학술적, 정책적 가치를 지니고 있음을 부각시켰다는 점에서도 그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relationships between family factors and the xenophobia of primary school children in South Korea.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the 6th grade students enrolled at 64 primary schools in Gyeonggi-do. Responses of 1,878 students were included in analyses. We developed an inventory to measure the level of the xenophobia of primary school students and analysed the effects of family factors on their level of xenophobia employ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Parents' education, father's religion, parents' political propensity, student's close relationships with parents, family structure, the place of residence and student’s gender were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xenophobia of primary school children. The level of xenophobia tended to be lower for those students who maintained closer relationships with their parents, for those students in single parents families, for those students who lived in rural areas than in urban areas and for the female students than the male students. The effects of parents' education and their political propensity appeared to differ by parents' sex. On the contrary, the effects of father's occupation and mother's religion appeared not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present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raising the academic and policy significance of the concept of xenophobia which is differentiated from the concept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