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전주 및 순창지역에 분포하는 엽리상화강암류의 성인에 대한 연구(I) - 암석지화학적 특성을 중심으로 - KCI 등재

Petrogenetic Study on the Foliated Granitoids in the Chonju and the Sunchang Area(I) -In the Light of Petrochemical Properti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411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옥천대의 남서대와 영남육괴의 북서 경계부에 대략 평행한 2열로 분포되어 있는 전주 및 순창 엽리상화강암류의 근원마그마의 분화과정 및 성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양 암체의 암석학적 및 지화학적 특성을 비교, 고찰하였다. 주성분 원소의 분석결과는 전주 및 순창엽리상화강암이 암석화학적으로 퍼알루미나 또는 칼크알칼리 계열에 속함을 보였으며, 기존의 화강암류 성인에 대한 I/S형 및 자철석/티탄철석 계열의 분류기준을 적용할 경우 비록 원소화학적으로는 I-형과 자철석 계열이 우세한 경향을 보이지만 일관성있게 분류되지 않는 특성을 보였다. 주성부 원소의 분석결과에 의한 CIPW norm 조성에서, 전주암체는 분화가 진행됨에 따라 화강섬록암에서 화강암으로 진화되는 반면, 순창암체는 화강섬록암에서 석영몬조섬록암으로 진화되는 특성을 보였다. 이는 양 암체가 지각물질과의 동화 혹은 결정분별과정 등을 포함하는 마그마 진화의 후기 과정에서 서로 상이했음을 시사한다. 전주 및 순창암체의 희토류원소 분포형태는 양 암체 모두에서 Eu(-) 이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고 LREE가 HREE에 비해 극도로 부화된 경향을 보여 서로 매우 유사했다. 이러한 희토류 원소의 분포형태는 우리나라의 선불국사 화강암류에서 보여지는 공통적인 희토류원소의 분포형태와 유사한 것이다. 이상의 결과들은 전주 및 순창엽리상화강암이 그 조성에 있어 서로 유사한 근원암 즉, 화성암질 조성을 갖는 대륙지각의 부분용융에 의해서 형성된 마그마를 기원으로 하고 있으며, 서로 유사한 마그마 분화정치과정을 거쳤음을 시사한다.

In order to understand the processes involved in the petrogenesis and the differentiation of the primary magma spectrum, a petrological and geochemic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for the Chonju and the Sunchang foliated granites, which are located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Okchon zone and extends up to the northwestern boundary of the Ryongnam massif as two subparallel batholiths. Major element analyses show that the Chonju and Sunchang foliated granites are classified petrologically into a weakly to strongly peraluminous or calc-alkaline, but do not fit neatly into either of the I/S-type or magnetite/ilmenite-series classification schemes for granites, although the I-type and magnetite-series characteristics seem to be predominant based on the major element chemistry. In normative compositions, the Chonju granite is petrographically evolved from granodiorite to granite, whereas the Sunchang granite is from granodiorite to quartz monzodiorite. It seems to suggest a difference of the magmatic evolution processes such as crustal assimilation and/or fractional crystallization in magma. The REE patterns of both batholiths show high similarity and strongly fractionated REE distributions which show high (Ce/Yb)N ratios and little or no Eu anomalies. These REE patterns correspond broadly to those seen in the pre-Cretaceous granitoids of Korea. Apparently, the evidences obtained from the bulk compositions strongly suggest that the two foliated granitoids were formed by partial meltings of a relatively restricted and similar, may be common, source material which contains a continental crust component having an igneous composition, and have undergone a similar magmatic differentiation processes.

저자
  • 나춘기(목포대학교 환경공학과) | Na, Choon-Ki
  • 이인성(서울대학교 지질과학과) | 이인성
  • 정재일(전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정재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