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된 기상요소, 기우제 및 기청제 KCI 등재

Weather Data and Praying for Rain and Eine Weather Written in the True Historical Record of the Chosun Dynas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412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에 기록된 기상자료를 가지고 조선 시대의 기후를 분석하고, 서울의 과거 기후와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기상요소(강수, 우박, 서리, 안개 등)수를 비교하면 조선 시대에 기록된 자료는 최근 자료의 5.4%로 빈약하여 조선왕조실록만을 가지고 조선 시대의 기후를 복원한다는 것은 어렵다. 기우제(祈雨祭)와 기청제(祈請祭) 일수는 강수 일수와는 상관관계가 없다. 강수와 우박 일수는 자료가 부족하긴하나 월별 현황은 최근의 경향과 비슷하다. 서리와 안개의 일수 현황은 과거 10년 동안의 현황과는 많은 차이가 있다. 이것은 피해없이 내린 경우에는 기록되지 않았고 많은 재산과 인명의 피해를 준 것은 기록되었기 때문이라 추측된다.

After analyzing the record of climate of the Chosun era with the weather data written on the true history of the Chosun Dynasty, and in comparison with the latest weather data in Seoul, the following conclusion has been reached. It's not easy to restore the climate of the Chosun era with the true history of the Chosun Dynasty only, for the data of the Chosun era is nothing but 5.4% of that the recent 10 years, centering around Seoul. The number of days of the praying for rain and fine weather have nothing to do with those of precipitation. The monthly number of days of precipitation and hail are similar to those of the recent, years, even though the data is not enough. The situation of the days of frost and fog are very different from that of the recent.10 years. This suggests that they recorded the situation when there was a lot of casualties to men and property, while they didn't record it when there were no casualties because the precipitation occured at the time.

저자
  • 소선섭(공주대학교 대기과학과) | So, Seun-Seup
  • 김용헌(홍동중학교) | 김용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