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전북지역 중등과학교사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 조사연구 KCI 등재

Science-related Attitudes of the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in Chonbuk,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413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본 연구는 전라북도 중등 과학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과학에 관련된 태도를 조사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전반적인 과학에 관련된 태도뿐만 아니라 과학에 관련된 태도의 범주별 태도 경향, 과학교사들의 배경요인별 과학에 관련된 태도의차이 등을 알아보았다. 과학에 관련된 태도 점수는 100점 척도로 67.6점에 해당한 미온적인 태도로 조사되었다. 범주별 인식경향은 과학에 대한 태도 영역의 지식과 학문성이 가장 낮고 목적과 가치성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과학적 태도 영역에서는 객관성 범주가 가장 낮게, 개방성 범주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문항별 특이한 점을 보면 과학을 발전시키도록 지원해 주어야 한다는 생각이 많으면서도 과학발전이 없었으면 인간은 더욱 행복해졌을 것이다 라고 생각하는 이중적인 면을 볼 수 있다. 배경별 과학교사들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 경향을 역시 유의도 5%에서 차이가 있는 것을 보면 정규대학 출신 과학교사에 비해 양성소, 부전공, 상치 교사들의 태도점수가 낮게 나타났으며, 지구과학 전공교사가 타 전공에 비해 약간 높았다. 연수 횟수에 따라 태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아 방학 때 실시하는 과학교사들의 연수가 과학에 관련된 태도의 변화에 별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학발전에서 중요한 것으로는 외적인 조건의 향상을 가장 많이 생각하였다.

We studied aspects of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in the Chonbuk province concerning their science-related attitudes using the several measuring tools. We applied the multiple comparison to twelve factors at the science teachers 'backgrounds and analyzed the discrepancy in group levels. Science teachers feel half-hearted for the attitudes related to science teachers show a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attitudes toward science and the scientific attitudes. We examined the tendency to the science-related attitudes of science teachers having various backgrounds within 5 percent differences of P-value. The contented teachers for their occupations marked higher than the other teachers in the tendency to the science-related attitudes, and the attitude-score of the science teachers graduated from regular colleges also marked higher than the teachers from the training institutes or the different majors. We have investigated the teachers just in Chonbuk province, but we should recognize that the scores in both the perception and the teachers are not improved comparing with the before-studies of Lee(1985), Park(1993), etc. As a result, the development of measuring tools which teachers can examine themselves as their features is needed and the educational systems to specialize the science education should be improved through the various programs for teachers' training courses.

저자
  • 조규성 | Cho, Kyu-Seong
  • 이광호 | 이광호
  • 김수민 | 김수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