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반도 중서부 지각구조와 물성 연구: 경기도 화성군 남양 및 안산시 탄도지역에 분포하는 퇴적분지의 분석 KCI 등재

Structure and Physical Property of the Crust of Mid-west Korea: Analysis of Sedimentary Basins in the Namyang and Tando Areas, Kyeonggi Province,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416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5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경기도 화성군 남양지역과 안산시 탄도지역에 분포하는 두 퇴적분지는 백악기(80-90Ma) 퇴적분지로서 10개의 암상과 5개의 상조합으로 구분된다. 상조합 I은 괴상 역암상, 정상점이층리 역암상, 역점이층리 역암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충적선상지에서 암설류와 판류에 의해 퇴적된 것으로 해석된다. 상조합 II는 괴상 이암상, 괴상 사암상, 엽층리 사암상, 괴상 역암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충적선상지와 망상평원 환경에서 판류와 부유 퇴적에 의해 퇴적된 것으로 해석된다. 상조합 III은 괴상 이암상, 엽층리 이암상, 괴상 사암상과 호층을 이루는 하도 역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범람원에서 홍수시에 부유 퇴적과 하도 메꿈작용에 의해 퇴적된 것으로 해석된다. 상조합 IV는 괴상 역암상, 정상점이층리 역암상, 괴상 사암상, 정상점이층리 사암상, 엽층리 사암상, 호층을 이루는 이암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선상지 삼각주에서 암설류와 저탁류에 의해서 퇴적된 것으로 보인다. 상조합 V는 괴상 이암상, 엽층리 이암상, 엽층리 사암상, 호층을 이루는 괴상 역암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호수에서 부유 퇴적과 저밀도 저탁류에 의해 퇴적된 것으로 보인다. 남양분지에서 상조합 I은 분지의 동쪽과 남쪽 부분에 분포하며, 상조합 II는 남북의 대상 분포를 이루며 분지의 중앙부에 분포하고, 상조합 III은 분지의 서쪽부분에 분포한다. 탄도분지에서 상조합 II는 분지 동쪽 중앙부와 북서쪽에 분포하고, 상조합 IV는 분지 남서부에 그리고 상조합 V는 분지 중앙부에 분포한다. 상조합 대비는 남양분지에서 상조합 I과 II는 층서적으로 하부에 그리고 상조합 III은 상부에 분포하고, 탄도분지에서 상조합 II와 IV는 하부에 그리고 IV와 V는 상부에 분포함을 보여준다. 이러한 암상분포 양상은 남양분지는 처음에는 충적선상지와 충적선상지평원/망상평원이 교호하다가 범람원으로 발전하였으며, 탄도분지는 처음에는 선상지 삼각주와 충적평원/망상평원이 교호하며 발달했다가 나중에는 호수환경에서 발전한것으로 해석된다.

Two Cretaceous(80-90 Ma) non-marine sedimentary basins, Namyang and Tando Basins, are distributed in the Namyang area, Hwaseonggun and in the Tando area, Ansanshi, Kyungki Province, Korea. The Namyang and Tando Basins are composed of 10 facies, which are pooped into 5 facies associations(FA). FA I consists of massive conglomerate facies, normally graded conglomerate facies and reversely graded conglomerate facies, which is interpreted to have been formed by laminated sandstone facies, massive conglomerate facies(channelized), which is thought to have been formed by sheet flow, stream flow and suspension sedimentation in an alluvial/braided plain environment. FA III consists of massive mudstone(pebbly) facies, laminated mudstone facies, massive sandstone facies and is interbedded by channel-fill conglomerate. It is interpreted to have been deposited by suspension settling during flooding and channel-fill deposition in a floodplain environment. FA IV consists of massive conglomerate facies, normally graded conglomerate facies, massive sandstone facies, normally graded sandstone facies, and laminated sandstone facies and is interbedded with mudstone facies. It is thought to have been deposited by debris flow and turbidity current in a fan-delta environment. FA V consists of massive mudstone facies, laminated mudstone facies, laminated sandstone facies and is interbedded by massive conglomerate bed. It is thought to have been formed by suspension sedimentation and low-density turbidity current in a lake. In the Namyang Basin FA I is distributed in the eastern and southern margin of the basin, FA II in the middle part of the basin as north-south tending band. and FA III in the western part. In the Tando Basin FA II is distributed in the middle part of eastern margin and in the northwestern margin, FA IV in the southwestern part, and FA V in the central part. Correlation of the facies associations shows that FA I and II in the Namyang Basin are distributed in the lower to middle part of stratigraphic sequence and FA III in the upper part of the sequence whereas FA II and IV in the Tando Basin are in the lower to middle part and FA V in the upper part of the sequence. These patterns of facies associations distribution suggest that the Namyang Basin was developed as an alluvial fan and alluvial/braided plain at first and then evolved into a floodplain whereas the Tando Basin was developed as a fan-delta and alluvial/braided plain at first and then evolved into a lake environment.

저자
  • 박성대 | Park, Sung-Dae
  • 정공수 | 정공수
  • 정지곤 | 정지곤
  • 김원사 | 김원사
  • 이동우 | 이동우
  • 송무영 | 송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