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반도 중서부 근 · 외해의 표층 퇴적물 특성과 퇴적환경 KCI 등재

Depositional Environments and Characteristics of Surface Sediments in the Nearshore and Offshore off the Mid-We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421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한반도 서해 중부지역의 대륙붕과 연안의 경계인 근·외해의 퇴적환경과 퇴적작용을 연구하기 위하여 1996년 부터 1999년 사이에 연속적으로 84개의 표층퇴적물을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지역 표층퇴적물은 역질 사(gravelly Sand), 사(Sand), 실트질 사(silty Sand) 그리고 사질 실트(sandy Silt)의 퇴적상을 보이고 있다. 조직변수는 표준입도 -0.39∼7.82φ, 분급도 0.36∼4.68φ, 왜도 -0.38∼0.86, 첨도 -1.56∼3.43로서 다양한 분포를 보이며 중앙지역의 조립하고 분급도가 좋은 사질 퇴적물을 중심으로 연안, 북과 남쪽으로 갈수록 세립해지고 분급도가 나빠지는 경향을 나타내며, 조석우세환경을 나타내는 양의 왜도를 나타내고 있다. 퇴적기작은 3가지(밑짐이동, 점이부유, 지속적 부유) 양상에 의하여 3지역으로 구분된다. 파랑, 조류의 영향으로 밑짐이동(mode A)으로 운반, 재분포된 북부지역, 상대적으로 지속적 부유(mode C)에 의한 이동, 운반, 퇴적된 남부지역 그리고 3가지 양상이 복합(mode B)되어 나타나는 중앙지역으로 구분된다. 따라서, 연구지역인 근·외해지역 퇴적환경은 강의 공급, 잔류퇴적물 그리고 수리학적 작용에 의해서 중앙, 남, 북부 지역으로 구별된다. 결론적으로 서해 중부 근·외해지역은 복잡한 수리학적 작용에 의한 다양한 퇴적기작으로 재배치된 연안의 육성기원퇴적물과 대륙붕의 잔류퇴적물이 특징적이며, 이런 퇴적작용으로 인해 연안에서 대륙붕으로 연결시켜주는 전이지역으로서의 퇴적환경을 보여주고 있다.

In order to elucidate sedimentation processes and depositional environments in transitional area between continental shelf and coastal zone, sedimentologic study has been done with 84 surface sediments sampled in nearshore/offshore off the mid-we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for 3 years (1996∼1999). The surface sediment can be classified into 4 facies (gravelly sand, sand, silty sand and sandy silt). Mean grain size, sorting, skewenss and kurtosis varies -0.39∼7.82φ, 0.36∼4.68φ, -0.38∼0.86, -1.56∼3.43, respectively. The textural parameters show a finer-grained and poorly-sorted trend shoreward, northward and southward from the central part of the study area. The positively-skewed distribution and relationship of each textural parameters indicate a tide-dominated depositional environment. According to C/M diagram, there are 3 different domains (mode A, B, C) of sediment transport mode. The northern part is characterized by bedload transport (mode A) and represents co-influence of wave and tide, whereas domain C in the southern part is controlled by uniform suspension transport (mode C), correlating with sandy-silt area. In the broad middle area, transport processes are complex (the mixture of bedload, graded suspension and uniform suspension; mode B). Hence, the subdivision depositional environments of this study area may be classified by 3 depositional environments dependent on the interplay of sediment supplies from river, relict sediments and hydrologic conditions. In results, the nearshore and offshore areas are thus characterized as a mixing zone between coastal terrigenous sediments and relict sediments in the continental shelf by complex processes (tide, wave and river flow). These sedimentation processes play an important role in producing distinct sedimentologic features in the transitional zone linking coastal and shelfal areas.

저자
  • 오재경 | Oh, Jae-Kyung
  • 금병철 | 금병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