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지구과학 ‘해양’ 단원에서 제시된 5가지 주제에 대하여 개념도를 작성한 후 이를 중학교 과학 수업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 작성된 개념도를 활용한 수업을 실험집단인 고등학교 2학년 2개 학급을 대상으로 운영하고 전통적인 수업을 실시한 비교집단과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념도활용 수업과 전통적인 수업이 과학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결과, 개념도 활용 수업이 전통적인 과학수업에 비해 학생들의 과학성취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능력 수준에 따라 두 가지 수업의 효과를 비교한 결과, 학습능력이 높은 학습자보다 학습능력이 중 · 하위 수준의 학생들에게 더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으며 개념도에서 위계가 분명한 학습내용일수록 개념도 활용 수업이 더 효과적이었다. 둘째, 개념도 활용 수업과 전통적인 수업이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결과, ‘과학적 탐구에 대한 태도’ 범주와 ‘과학적 태도의 적용’ 범주에서는 개념도 활용 수업이 전통적인 수업보다 더 효과적이었다. 반면에 ‘과학수업의 즐거움’ 범주에서는 개념도 활용 수업과 전통적 수업의 효과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개념도 작성에 대한 학습자들의 심리적인 부담을 반영해주었다. 셋째, 개념도 활용 수업 집단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 개념도 수업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은 전체적으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 영역 별로 살펴보면 개념도 활용 수업이 학습내용의 이해 증진면에서 유리한 것으로 평가하였으며 학생이 작성한 개념도를 통해 수업 내용에 대한 확인이 용이하기 때문 평가도구로 활용가치가 높은 것으로 인식하였다. 파지력면에서 개념도는 배운 내용을 확인하고, 기억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인식하였으나 활동성면과 흥미면에서는 다른 영역점수 보다 낮게 나타났다.
Concept mapping is a device for representing the conceptual structure of a subject discipline in a two dimensional form which is analogous to a road map.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earth science, each concept depends on its relationships to many others for meaning. Using concept mapping in teaching helps teachers and students to be more aware of the key concepts and relationships among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use of concept mapping on science achievement and the scientific attitude in ocean units of earth sci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cience achievement of a group of concept mapping teaching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group of traditional teaching. Also, when the achievement levels are compared among different cognitive ability groups, the effect is more significant in mid or lower level student groups than in high level groups. The use of concept mapping is more effective when the concepts have a distinct concept hierarchy. Second, the scores of the test of ‘attitude toward scientific inquiry’ and ‘application of scientific attitude’ of the group of concept mapping teaching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group of traditional teaching, whereas the scores of the test of ‘interest in science learning’ of concept mapping teaching is not different from those of group of traditional teaching. Third, the survey on the use of concept mapping shows a positive response across the tested groups. The use of concept mapping is more beneficial in fostering the comprehension of the topic. A concept map of student's own construction facilitates the assessment of learning, thus promising the usefulness of concept mapping as a means of evaluation. In regard to retention aspect, concept mapping is considered to be more effective in confirming and remembering the topic, while less effective in the aspects of activity and interest. In conclusion, the use of concept maps makes learning an active meaningful process and improves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scientific attitude. If the concept mapping is more effectively as an active teaching strategy, more meaningful learning will be attain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