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대구 부근 하부 하양층군(백악기) 사암과 이암의 속성 광물과 속성 작용의 규제 요인 KCI 등재

Controls on Diagenetic Mineralogy of Sandstones and Mudrocks from the Lower Hayang Group (Cretaceous) in the Daegu Area,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428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경상분지 중앙부에 분포하는 백악기 하부 하양층군의 사암과 이암에서 산출되는 속성광물은 탄산염 광물(방해석, 백운석), 점토 광물(I/S, C/S, 일라이트, 녹니석 및 캐올리나이트), 알바이트, 석영 및 적철석이 대부분을 이루고 있다. 각 층별 특징적인 속성 광물상으로는, 칠곡층에서는 알바이트-녹니석(C/S포함)-적철석이, 신라역암은 알바이트-일라이트-방해석이, 함안층에서는 일라이트-녹니석-적철석이, 반야월층에서는 알바이트-녹니석-백운석이 산출된다. 속성 작용 과정의 물리, 화학적 환경 변화를 지시하는 점토 광물로는 일라이트가 전층군을 통하여 보편적으로 산출되나, 녹니석(C/S포함)은 회색 또는 녹색암이나 화산기원 물질의 함량이 높은 칠곡층 사암과 이암에서 주로 나타난다. 이러한 속성 광물상에 근거할 때, 속성 광물의 생성은 일차적으로 기원암과 밀접히 연관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일라이트 결정도를 기준으로 이 지역의 사암과 이암은 후기 속성 작용 단계 내지 저변성 단계에 해당되며, 속성 작용은 매몰 심도 보다 백악기 화강암체의 관입, 유기물의 함량과 입자의 크기 및 퇴적환경의 영향을 크게 받은 것으로 보인다.

Authigenic minerals found in sandstones and mudrocks of the Lower Hayang Group (Cretaceous) in the central part of the Kyungsang Basin are carbonate minerals (calcite, dolomite), clay minerals (illite, chlorite, C/S, I/S and kaolinite), albite, quartz and hematite. Characteristic diagenetic mineral assemblages are as follows: albite-chlorite (including C/S)-hematite in the Chilgog Formation, albite-illite-calcite in the Silla Conglomerate, illite-chlorite-hematite in the Haman Formation and albite-chlorite-dolomite in the Panyawol Formation, respectively. Among clay minerals reflecting the physical and chemical change of the diagenetic process, illite, the dominant clay mineral, occurs in every formation in the study area. Chlorite occurs mainly in green or gray sandstones and mudrocks, or in sandstones and mudrocks of the Chilogok Formation which contains a high content of volcanic materials. Based on the mineral assemblage, diagenetic minerals are strongly related with source rocks. Judging from the illite crystallinity, diagenesis of sandstones and mudrocks in the study area reached the late diagenetic stage or low grade metamorphisim. The diagenetic process was much influenced by intrusion of the Bulguksa granite, content of organic materials, grain size, and depositional environment rather than burial depth.

저자
  • 신영식 | Shin, Young-Sik
  • 추창오 | 추창오
  • 이윤종 | 이윤종
  • 이용태 | 이용태
  • 고인석 | 고인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