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열린교육과 탐구학습을 위한 야외 지질학습장을 개발하고, 야외학습이 과학의 정의적 영역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등을 알아보았다. 야외지질 학습장은 전북 부안군 격포 채석강 일대와 정읍시 내장동에서 순창군 쌍치면에 이르는 방산재 일대를 개발 하였다. 정의적 영역은 과학에 관한 인식, 과학에 대한 흥미, 과학적 태도로 세분해 조사하였고 학업성취도 평가는 25문항을 만들어 사용하였다. 정의적 영역의 세 가지 항목에서 모두 통제 집단이 비교적 변화가 없는데 반해 실험집단은 리커트 척도 2.44에서 2.37(과학에 관한 인식), 3.15에서 3.08(과학에 대한 흥미), 2.91에서 2.74(과학적 태도)로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또한 공변량 분석으로 조정된 점수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과학에 관한 인식은 0.12 포인트, 과학에 대한 흥미는 0.15포인트, 과학적 태도에서 0.23 포인트 차를 보이며 더 긍정적이었다. 학업성취도는 공변량 분석으로 조정된 점수가 100점 만점 척도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7.68점 높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geological field sites for open ended education and inquiry learning, and to find the influence of field study on the affective domain in science and the achievement. As for the field sites, we used the areas ranging from Chaeseokgang- of Kyeokpo, in Buan, to around Bangsanje from Naejang-dong in Jeongeup to Ssangchi-myun in Sunchang-kun, Jeolla North Province. The affective domain in science is composed of three parts-cognition of science, interests toward science, and the scientific attitudes. to evaluate the stage of the achievement, we used questionnaire composed by 25 items. While the control group does not show any change in three parts of the affective doma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s positive changes, from 2.44 to 2.37 (cognition of science), from 3.15 to 3.08 (interests toward science), and from 2.91 to 2.74 (scientific attitudes) on Likert Scale. Also the score arranged by the analysis of covariate shows that the experimental group is more positive than the control group by 0.12 point in cognition of science, by 0.15 point in interests toward science, and by 0.23 point in scientific attitudes. In terms of the stage of achievement, the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is arranged by analysis of covariate, is 7.68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on maximum of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