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환경단원 수업을 위한 문제중심학습 설계 및 적용 KCI 등재

Design and Application of the Problem Based Learning Model for Environment Teaching Uni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438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본 연구에서는 문제중심학습(Problem Based Learning)을 과학 수업에 적용하기 위한 지도전략과 '문제상황'을 설계하고 이를 적용한 후 학습자의 학습과정과 문제중심학습에 대한 인식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문제중심학습의 단계는 문제상황 제시-문제 만나기-알고 있는 것과 알아야 할 것에 대한 확인(Know/Need to Know)-문제의 진술-정보의 수집과 공유-가능한 문제해결책 형성-최적 문제해결책 결정-문제해결책 발표이고, 소집단 토론 전략과 학습자 주도적 문제해결 전략 등의 단계별 지도전략을 설계하였다. '온실효과를 줄이기 위한 미래의 에너지로 무엇이 좋을까?'라는 문제상황으로, 과학고등학교 2학년 지구과학 수업시간에 문제중심학습을 실시하였고, 학습과정과 문제중심학습에 대한 인식을 밝혔다. 연구결과, 문제의 진술 단계에서는 초기에는 광범위한 문제 진술이 많았으나, 토론을 거듭할수록 문제해결책을 찾기 용이한 좁은 범위의 문제 진술로 정교화되었다. 그리고 K/NK단계에서 알고 있는 것과 알아야할 것에 대하여 명료하게 진술하는 활동이 해결책을 찾는 과정에서 학습자에게 가장 도움이 되는 활동으로 분석되었다. 소감문 분석결과 학습자들은 문제상황에서 문제를 찾아내는 과정을 가장 어려워하면서도 또한 흥미있는 활동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부터, 내실있는 문제중심학습의 적용을 위하여, 다각도의 문제인식이 가능한 간학문적이고 현실적인 문제 상황의 개발이 우선되어야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the coaching strategies for the problem based learning and examine 'the problem situation' to analyze the process of learning as it applies to the students' perception on problem based learning. The steps of this model were as follows: 1) presentation of the problem situation 2) confrontation of the problem 3) know/ need to know 4) definition of the problem statement 5) collection and sharing of information 6)generation of possible solutions 7) assessment of the best fit of solutions 8) presentation of the solution. Problem-based learning steps and coaching strategies were designed and implemented to 2nd grade high school students for the environment teaching unit.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group discussion in the know/need to know step was most helpful for students to review what they know and generate solutions. At first students tend to state problems widely but through repeated group discussions they gradually clarified the problems. In the students' personal reflection notes and perception questionnaire of problem-based learning, many students especially showed difficulties in defining the problem statement. In contrast they participated actively in the learning process and express their opinions enthusiastically.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developing problem situation based on real context is of great importance for implementing a problem based teaming model continuously.

저자
  • 박수경(부산과학고등학교) | Park, Soo-Ky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