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중등학교 과학실험수업의 탐구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 개발 및 적용 KCI 등재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Instrument for Assessing Inquiry Level in Secondary School Science Laboratory Classroom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440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교에서의 실험수업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는 것이다. Dana(2001)가 개발한 상황적 실험활동도구를 수정, 보완하여 ‘실험수업의 탐구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를 만들었다.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전문가들과 여러 차례의 협의를 거쳤으며, 15명의 과학교육 전공 대학원생들에게 의뢰하여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연구자와 평가자 2인이 3개의 전사된 수업을 읽고 난 후, 함께 녹화된 실험 수업을 보여 수준을 달리 하였을 때 도구의 내용을 수정하는 방법으로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이렇게 만들어진 평가도구를 4명의 중학교 초임과학교사의 수업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개발된 평가도구는 중등학교의 실험수업 탐구수준을 결정하는데 좋은 도구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중학교 초임과학교사의 탐구수준은 확인수준과 구조화된 탐구주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n instrument for analysing secondary school science laboratory classroom. Three classroom of novice teachers were observed and administered Dana's (2001) situated laboratory activity instrument. Dana's situated laboratory activity instrument consists of eight categories. Each category includes four levels. Three doctoral students and two science education specialists participated in modification of the through 15 science education graduate students. To achieve reliability, the researcher and two raters observed and analyzed three videotaped classrooms through discussion. The finalized instrument was employed in four novice teacher' classes and result indicated the instrument to be useful in identifying the inquiry level of a secondary laboratory classroom. The inquiry level of four novice teachers was confirmation or observation.

저자
  • 이근준(전의중학교) | Lee, Keun-June
  • 정진우(한국교원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정진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