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적 연구능력을 통해 본 영재학생에 대한 재고: 실험설계검사를 통하여
과학연구를 하는 방법은 매우 다양하다. 과학영재아들로 하여금 본연의 과학연구능력을 개발하고 구현하도록 하는 목적을 달성한다는 것은 이미 알려진 영재교육의 목표이다. 여기서 과학연구능력이라고 할 때 과학연구의 요소는 무엇인가 살펴볼 필요가 생기며 하나의 과학연구가 존재하기 보다는 다양한 연구밥법이 공존한다는 입장이 더 설득력이 있다. 본 연구는 연구능력의 다양한 측면과 특성을 알아보는 탐색연구이며 더 세부적으로 들어가서 과학과정 능력 중 실험설계능력에 초점을 맞추었다. 물론 연구능력이라고 할 때에는 문제발견, 과학지식, 자아통찰 등 다양한 영역이 포함된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설계능력을 보기 위해 1990년 Fowler가 개발한 Diet Cola Test를 국내의 학생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전국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생 중 총 705명의 초등학교 3학년에서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이 연구대상이 되었으며 과학교육분야에서의 문제중심학습과 창의적 사고력이라는 부분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자료를 해석하였다.
There is more than one way to conduct scientific research. In addressing the concern for educating the gifted in science towards achieving objectives of fostering their research skill, its elements need be explored and discussed by first admitting that various methodologies and features coexist in the name of scientific research. This study explores the various features of research skill presented as scientific process skills focusing on the students' experimental designing. Of course, there are several other domains included facets of research skill, such as problem finding, scientific knowledge, and self-efficacy. A Diet Cola Test (DCT) (Fowler. 1990) for digging into science process skills as an elements of research skills was administered to 705 students from 3rd to 10th grade, who enrolled the gifted education centers in Korea. Date was interpreted and analyzed based on the focus of Science education perspectives and research methods related to creative thinking and problem-based learning. But I eschew establishing and generalizing fixed constitutes of research skill from this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