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탐구 학습에 관한 중등 과학 교사들의 인식 KCI 등재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f Inquiry Learn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442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본 연구는 중 ·고등학교 과학 교사를 대상으로 탐구 학습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고 교사 수준의 탐구 학습 실태를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탐구 학습 인식에 관한 설문지를 개발하여 서울교육과학연구원의 실험 연수에 참여한 서울지역 중 · 고등학교 과학 교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의하면, 교사들은 과학 교육의 중요한 목표가 과학에 대한 흥미를 높이는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실생활과 관련된 소재를 수업에 활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부분의 교사가 탐구 학습을 학습자 중심의 열린 탐구 학습에 대한 인식하고 있었고, 대학 입시 제도, 탐구수업 보조 자료의 부족, 학생들의 의지 부족, 교사들의 탐구 학습에 대한 인식의 부족 등이 탐구 학습의 실현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조사되었다.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preception on inquiry learning was investigated by using questionnaires. According to these results, science teachers, who are participants of the current Korea National Science Curriculum, responded that raising the 'interest in science' was the most important objective of science education, and using practical scientific subject matters in class will do such. More than 72% of science teachers have used reconstructed materials. When reconstructed textbook contents were used, teachers through that the most important object is the 'acquirement of scientific knowledge'. Most science teachers perceived inquiry leaning as a student centered open investigation. Among factors that disturb inquiry leaning, critical ones were 'entrance examination', 'lake of teaching-leaning materials', 'little understanding of inquiry leaning', and 'lake of student's will to inquiry'.

저자
  • 박정희(한국교원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Park, Jeung-Hee
  • 박예리(한국교원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박예리
  • 김정률(한국교원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김정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