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다중채널 표면파 자료를 이용하여 구한 S파 속도와 감쇠지수 구조: 낙동강 하구의 연약 지반 특성 KCI 등재

S-wave Velocity and Attenuation Structure from Multichannel Seismic surface waves: Geotechnical Characteristics of NakDong Delta Soi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443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다중채널 탄성파 자료를 이용하여 낙동강 하구 삼각주 지역 연약지반의 지반 특성을 구하기 위하여 S파 속도와 Qs-1 구조를 구하고 이를 시추조사 결과와 비교하였다. 다중채널 신호의 분산곡선을 역산하여 S파 속도구조를 구하고 감쇠지수(attenuation coefficient)를 구하였다. 다중채널 신호 중 음원에서 가장 가까운 신호를 기준 신호로 정하고 10 Hz에서 45 Hz 사이의 주파수에 대하여 거리에 따라 기준 신호에 대한 진폭의 비가 감소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기울기를 구하여 감쇠지수를 결정하였다. 이 감쇠지수를 역산하여 지반 최상부 8 m 층의 S파 속도와 함께 Qs-1를 구하였다. 이 지역의 시추조사에 의하면 이 지역의 지층은 크게 상부 4 m 실트질 모래층과 하부 4 m 실트질 점토층으로 나누어진다. 표면파 역산에 의해 구해진 S파 속도와Qs-1를 시추조사 결과와 비교해보면, 상부 실트질 모래층에서 S파 속도의 공간적 해상도는 약 80m/sec로 하부 실트질 점토층의 속도 40m/sec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보인다. 각 층에서 S파 속도의 공간적 해상도는 뚜렷하다. Qs-1의 공간구조는 상부 실트질 모래층에서 약 0.02를 보이고 하부 실트질 점토층에서 0.03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다. Qs-1의 공간적 해상도는 상부 약 5 m 구간에서는 양호하나 그 보다 깊은 곳에서는 공간적 해상도가 아주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조사지역에서는 실트질 모래층에서 실트질 점토층보다 높은 S파 속도가 나타나고 낮은 Qs-1 값을 보인다. 그러나, 지반의 S파 속도와 Qs-1를 결정하는 다른 많은 요인들이 있으므로 이를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연약지반의 S파 속도와Qs-1에 관한 자료와 연구가 집적되어야 할 것이다.

The S wave velocity and Qs-1 structure of the uppermost part of the soil in Nakdong Delta area have been obtained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ementioned soil. The phase and attenuation coefficients of multichannel seismic records were inverted to obtain the S wave velocity and Qs-1 structure of the soil. The inversion results have been compared with the borehole measurements of the area. The seismic signal of the nearest geophone from a seismic source was used as the source signal to obtain the attenuation coefficients. Amplitude ratios of the signal at each geophone to the source signal wave plotted as a function of distance for the frequency range between 10 Hz and 45 Hz. The slope of a linear regression line which fits amplitude ratio-distance relationship best for a given frequency was used as the attenuation coefficients for the frequency. The dispersion curve of Rayleigh waves and the attenuation coefficients were inverted to obtain the S-wave velocity and Qs-1, respectively, in the uppermost 8 meter of soil layer. The borehole measurements of the area show that are two distinct layers; the upper 4 meter of silty-sand and the lower 4 meter of silty-clay. The inversion results indicate that the shear wave velocity of the upper layer is 80 m/sec and 40m/sec in the lower silty-clay layer. The spacial resolution of the shear wave velocity structure is very good down to a depth of 8 meter. The Qs-1 in the upper silty-sand layer is 0.02 and increase to 0.03 in the lower silty-sand layer. The spacial resolution of quality factor is relatively good down to a depth of 5 meter, but very poor below the depth. In this study, the S-wave velocity is higher in the silty-clay and the Qs-1 is smaller silty-sand than in the silty-clay. However, much more data should be analyzed and accumulated before making any generalization on the shear wave velocity and Qs-1 of the sediments.

저자
  • 정희옥(군산대학교 해양시스템공학과) | Jung, Hee-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