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삼각주 서부 지역의 시추 코아에 대한 퇴적상, 유공충 화석군집 및 AMS 14C 연대측정을 수행하고 제4기 퇴적층의 고환경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지역의 제4기 후기 퇴적층은 네 개의 퇴적단위(하부로부터 Unit I, II, III, IV)로 구성된다. Unit I은 연구지역에 최초 해침이 일어나기 전 육성 환경에서 형성된 하도 퇴적층이다. Unit Ⅱ는 연안성 규조의 출현으로부터 천해에서 형성된 해성 퇴적층으로 판명되었으며, 퇴적층 상부에는 대기 노출에 의한 건조와 산화에 의한 균열이 발달하고 있어 상위 퇴적단위와 층서적으로 뚜렷하게 구분된다. 이 퇴적단위는 이전 간빙기(MIS 5)에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Unit II를 부정합으로 피복하는 Unit III은 약 9,000 yr BP 경 홀로 세 해침이 시작되면서 담수의 영향을 받는 하구의 조간대에서 형성되기 시작하였으며, 해침이 좀 더 진행되면서 약 8,000 yr BP부터는 내대륙붕 환경에서 퇴적되었다. Unit IV는 해수면이 안정된 후, 약 5,000 yr BP를 전후로 한 시기에 낙동강 삼각주의 성장에 의해 형성되었다. 먼저 삼각주의 하부삼각주평원에 해당되는 조간대 퇴적층이 형성되고, 이후 삼각주의 전진에 따라 연구지역은 현재의 삼각주 평원의 배후 지역인 범람원 환경으로 변모하였다.
Late Quaternary deposits of the core in the western area of the Nakdong River delta consist of four sedimentary units: Unit I, II, III and IV, in ascending order, controlled by the sea-level change since the last interglacial period. Unit I unconformable overlying Cretaceous basement rocks is composed of sandy gravel and sand deposited in a fluvial channel before the first marine transgression. Unit II composed of stiff massive mud is interpreted as a shallow marine deposits formed during the last interglacial period (probably MIS 5). The development of the fissures coated with oxidized materials in the upper part of Unit II is a feature of subaerial exposure, which indicates erosional contact with the upper Unit III. Unit III is made up of soft massive mud and soft shelly massive mud deposited in a tidal flat and a inner shelf, respectively, since the Holocene transgression (about 9,000 yr BP). Unit Ⅳ consisted of soft shell bedded mud and yellowish sandy mud was deposited in the delta environments during the regression (after about 5,000 yr BP). The lower shell bedded mud was deposited in a tidal flat and the upper sandy mud was deposited in the floodplain corresponding to present site of the Nakdong River del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