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 지구과학 내용의 적정성 분석 및 평가 KCI 등재

Analysis and Evaluation of the Earth Science Content Relevance in the 7th National Science Curriculu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450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제7차 교육과정 지구과학 내용의 적정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 분석(우리나라, 미국 캘리포리아주, 영국, 일본), 우리나라와 일본 교과서의 지구과학 내용 분석과 초 중등학생, 교사, 교수, 교과서 저자에 대한 광범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제7차 교육과정의 지구과학 내용은 과학과 4개 영역의 균등 분배, 단원의 세분화로 인한 내용구성과 연계성 부족, 그리고 나선형 교육과정의 과도한 적용, 지나친 탐구활동 중심의 교과서 내용구성으로 인한 학습량 증가와 체계적 개념 지도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 적정하게 구성되어 있지 않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고 지구과학 영역 내용 적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첫째, 내용 구성 및 연계 측면에서 볼 때, 각 학년에서 다루게 되는 내용을 과학 4개 영역으로 균등하게 분배하지 말고, 단원의 크기를 다양화해야 한다. 둘째, 학습량 측면에서는 나선형 교육과정의 구성 방식을 탈피하여 학년 수준에 맞는 내용은 해당 학년에서 종료되도록 하여 학년간에 중복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하고, 필수 탐구활동의 수를 줄이고 질을 높여야 한다. 셋째, 내용의 수준과 흥미 측면에서, 학생들의 지구과학에 대한 흥미를 제고할 수 있도록 자연재해, 안전, 우주 관련 분야, 자원 등을 강조해야 한다. 아울러 교육 내용 적정성의 평가 준거 중의 하나가 실현 가능성임을 고려할 때,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목표가 학교 현장에서 실현될 수 있도록 주변 여건에 대한 지원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arth science content relevance of the 7th national science curriculum. For this purpose, we (1) analyzed science curriculum or content standards of Korea, California, England and Japan, (2) compared science textbooks of Korea and Japan, (3) conducted a nationwide survey to gather opinions from students, teachers, professors and textbook authors about the relevance of the science curriculum and textbook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Earth science contents of the 7th national science curriculum were not appropriate in terms of the objectives of science curriculum and the needs of students and society. The main reasons include the equal division among physics, chemistry, biology and earth science, iack of connection due to fractionation of units, overly strict application of spiral curriculum, and redundant amount of activities and concepts to cover in the textbook. Major suggestions fir securing the relevance of Earth science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the science contents and the size of units at each grade level should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tudents' characteristics, not by equal portion rule. Second, the excessive overlapping and repetition of contents due to the spiral curriculum should be avoided. In addition, the number of activities should be reduced and the quality of required science activities should be improved. Third, to raise students' interest in Earth science, real-life applications and real-world Earth science contents should be emphasized including natural disasters, safety, universe and space exploration, and natural resources. Lastly, considering one of the relevance criteria is feasibility, supports for schools and science teachers are needed to realize the goal of the intended science curriculum.

저자
  • 이양락(한국교육과정평가원) | Lee, Yang-Rak
  • 곽영순(한국교육과정평가원) | 곽영순
  • 김동영(한국교육과정평가원) | 김동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