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경북 포항분지 북부 지역의 연일층군(제3기)에서 산출되는 포낭류 화석을 비롯한 소수 규질 미화석군에 대한 연구 KCI 등재

Minor Siliceous Microfossil Group and Fossil Cysts from the Yeonil Group (Tertiary) in the Northern Area of the Pohang Basin, Kyeongbuk Province,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452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0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연구지역인 포항분지 북부의 청하와 송라 일대에 분포하는 연일층군에서 2속 5종의 아케오모나드, 이들 외에 3가지 유형의 스토마토시스트로 생각되는 포낭류 화석, 3속 5종의 내골격 와편모조류 및 11속 18종의 에브리디안 화석들이 산출되었다. 규질 미화석들의 군집조성에서 연구지역에 분포하는 연일층군의 지질시대는 마이오세 중기에 해당하며 아케오모나드의 산출에 따르면 미국 메릴랜드의 Calvert층과 일본 중부의 Hojuji층에 대비된다. 내골격 와편모조류와 에브리디안을 이용한 분대에 따르면 연구지역의 연일층군은 남서태평양 해역의 Actiniscus elogatus대에서 Hermesinella conata대의 중부에, 노르웨이해 연안 Vøring Plateau해역의 Spongebria miocenica대에서 Hermesinella schulzii대의 중부에 대비된다고 할 수 있다. 연일층군 퇴적환경은 아케오모나드를 비롯한 포낭류 화석, 내골격 와편모조류 및 에브리디안 군집조성에 따르면, 대체로 한랭수괴가 우세한 환경에서 온난수괴 역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두호층의 상부로 가면서 한랭화가 다소 강화되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미소 포낭류 화석들의 산출에서 연일층군 퇴적 시, 담수 또는 반염수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시사된다.

From the Tertiary Yeonil Group distributed in Songra and Cheongha areas, the northern part of the Pohang Basin, nine archaeomonad species belonging to two genera, and other three types of chryophycean cysts considered as stomatocysts, five endoskeletal dinoflagellate species belonging to three genera and eighteen ebridian species belonging to eleven genera were identified. Based on above siliceous microfossil assemblages, the Yeonil Group is corresponded to Middle Miocene age. The group is correlated with the Calvert Formation (Maryland in USA) and the Hojuji Formation (in Central Japan) by its archaeomonad cysts. And, the group is correlated with the intervals of Actiniscus elongatus to Middle Hermesinella conata zones in Southwest Pacific region and of Spongebria miocenica to Middle Hermesineila schulzii zones in Vøring Plateau, Norwegian Sea, based on the ebridian assemblages of the group. From the chrysophycean cyst including archaeomonad, endoskeletal dinoflagellate and ebridian assemblages in the Yeonil Group of the study area, it is inferred that cold water masses dominated during the deposition oi the group with occasional warm water. The upper part of the group might be somewhat colder than the lower one of the group in depositional condition. In addition, minute chrysopycean cysts considered as stomatocysts suggest the influence of fresh or brackish water during the deposition of the group.

저자
  • 고영구(전남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학부) | Koh, Yeong-K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