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자연사 박물관 전시물의 학교 지구과학 교육과정 반영 정도와 전시 방법의 교육적 분석: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KCI 등재

School Earth Science Curriculum Reflected in Exhibits and an Educational Analysis of Exhibition Methods: Cases of Natural History Museums in the U.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452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자연사 박물관을 비형식교육기관으로 정의하게 될 경우, 가장 먼저 고려하는 것은 형식교육기관과 어떤 형식으로 보조를 맞추고 도움을 주고받을 수 있는가 이다. 이는 전시의 내용과 전시의 형태에서 과학교육과정을 어느 정도로 또한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가를 통해 알아볼 수 있을 것으로 가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 자연사 박물관인 스미소니안 자연사 박물관과 뉴욕의 아메리칸 자연사 박물관의 전시물 중에서 지구과학관련 전시물 461점을 선별하였다. 선발된 전시물의 다양한 측면을 개발된 도구를 이용해 조사하였다. 개발된 교육과정분석틀은 미국 국가과학교육기준(National Science Curriculum Standard; NRC, 1996)과 TIMSS(Third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Robitaille et al., 1993)의 과학교육과정 프레임을 근거로 구성하였다. 고려되었던 전시의 특징은 우선 전시의 활동 유형, 전시 기술, 전시 매체, 전시 표현 등이고 아울러 과학의 본성이 어떻게 전시물에 나타나는가를 살펴보았다. 비형식 교육기관으로서의 자연사 박물관의 역할에 대한 잠재력을 본 연구를 통해 재검토하였다.

Natural history museums used to be called an "informal learning institute". It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ir exhibition and exhibits are supposed to reflect school science curriculum and support school science programs.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this assumption is verified in terms of content-wise connections between school science and museum exhibits. In this study, 461 Earth Science related exhibits were selected from the Smithonian Museums and the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in the U.S. and analyzed with several instruments. The instrument targeting on Earth Science curriculum was framed based on the Third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1993) and the National Science Curriculum Standards (1996). Other than content-wise connections, this study investigated exhibition characteristics related to better learning of science: these characteristics were types of activities, exhibition media, exhibition technology, and presentation methods. The nature of science shown in exhibits were examined as well. Natural history museums were reconsidered for their relevance and potential as informal educational venues from this study.

저자
  • 김찬종(서울대학교) | Kim, Chan-Jong
  • 신명경(경인교육대학교) | 신명경
  • 이창진(충북대학교) | 이창진
  • 차현정(서울대학교) | 차현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