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강화도 장화리 조간대의 퇴적 특성 KCI 등재

Sedimentary Characteristics in the Tidal Flat of Janghwa-ri, Kangwha Island, Eastern Yellow S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454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강화도 장화리 니질 조간대의 계절 변화에 따른 지형 변화와 퇴적 환경을 알기 위해서 4개 측선의 지형 변화, 112점의 표층 퇴적물 그리고 2점의 주상 퇴적물을 얻어 퇴적학적 분석과 방사선 동위원소 분석을 수행하였다. 표층 퇴적물은 크게 4가지의 퇴적상 즉, 사질, 니질 사, 사질 니, 실트로 나누어졌다. 장화리 조간대는 겨울철로 갈수록 표층 퇴적상이 조립해지고, 조간대 경사가 급해지는 등 전형적인 계절적 변화가 나타났다. 주상퇴적물에서 전체적인 퇴적상은 실트가 우세하고 분급은 불량하였다. Pb-210 동위원소를 분석한 결과 강화도 조간대의 평균 퇴적속도는 약 5 mm/yr로 나타났다. 또한 주상시료 최상부 퇴적상의 차이는 최근 이 연구 지역의 급격한 퇴적환경 변화를 지시하며, 이는 최근 주변 해역의 대규모 연안 개발 사업과 연관되어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In Janghwa-ri of Kanghwa Island morphological changes in four transects, 112 surface, and 2 core sediments were analyzed to understand the seasonal variation of the muddy tidal-flat environment. Sedimentary of facies can be classified into four facies; sand, muddy sand, sandy mud, and silt. During winter, the coarse-grained sediment facies expanded seaward. In the subsurface part of the core sediments, poorly sorted silty sediments dominate the area. According to the Pb-210 isotope analysis, accumulation rates of the tidal flat in Jangwha-ri appear to be 5∼19mm/yr. In the study area, the result is suggestive of a rapid change in depositional environments in recent years.

저자
  • 오재경(인하대학교 해양과학과) | Oh, Jae-Kyoung
  • 도종대(한국해양연구원 연안개발연구본부) | 도종대
  • 조용구(인하대학교 해양과학과) | 조용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