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중학교 과학 실험 수업에서 초임 과학 교사들의 탐구 지도 수준 분석 KCI 등재

Analysis of Inquiry Teaching Levels of Beginning Science Teachers in Middle School Science Laboratori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454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초임 과학 교사들의 실험수업을 관찰하여 실험 수업에 참여한 교사들의 탐구 수준을 알아보는데 있다. 신규 임용된 교사를 대상으로 전화 면접을 통해서 8명을 선발한 후, 구두 면담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4명이 선정되었다. 실험 주제는 학생들의 조작적 활동이 많은 내용으로 교과서에 있는 실험으로 연구자가 제시하였으며, 수업 기술 발달 분석을 목적으로 1년 후에 같은 주제로 수업을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알아낸 참여 교사들의 탐구 수준은 확인 탐구 수준 또는 구조화된 탐구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1년 후에 조사한 참여 교사들의 탐구 점수가 범주별로 약간 증가하기는 하였지만 여전히 확인 탐구 수준과 구조화된 탐구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였다. 이 연구는 초임 과학 교사들의 수업 발달에 대한 기초 연구와 실험 수업을 개선하는데 이바지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nquiry levels in the laboratory practices of beginning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For this research eight teachers were chosen among a pool of beginning teachers. Then four finalists were chosen individually by interviews. Topics associated with hands-on activity experiments were provided by the author. In order to analyze teaching-skill development, classroom observations were made under the same topic after one year. The inquiry levels of four novice teachers were confirmation or structured inquiry but the inquiry levels were not out of confirmation or structured inquiry levels when those compared to last year's one.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eachers and provides various informations for instructional development of beginning teachers.

저자
  • 정진우 | Jeong, Jin-Woo
  • 이근준 | 이근준
  • 김진국 | 김진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