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사범대학 지구과학 교사 양성 교육 과정 현황 분석 및 개선 방안 탐색 KCI 등재

Investigation of the Earth Scien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in the College of Education and their Improvement Plan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454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본 연구에서는 사범대학의 현행 지구과학 교사 양성 교육 과정을 크게 교직 이론, 교육 실습, 교과 교육학, 교과 내용학으로 나누어 분석하여 그 개선 방안을 탐색해 보았다. 교직이론의 경우는 교육학 이론 학습에 치중하고 있어 실제성이 떨어지며, 교과 교육학 선수 학습 교과로서 이수 시기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므로 과목간 연계성 유지를 위해 교직 이론을 교과 교육학 이전에 이수하도록 하며, 되도록이면 현장성이 강한 교직 이론 과목을 이수하도록 권장하여야 할 것이다. 교육 실습의 경우는 교육실습 기간이 외국에 비해 짧으며, 신규 교사를 위한 별도의 업무 외 연수과정이 없고 인턴제도나 직무 연수 프로그램이 미흡한 현재의 교사 양성 교육과정 체제에서는 교육 실습이 이런 역할을 대신할 수밖에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므로 학교 시스템의 전반적인 흐름을 이해하기 위해서 교육 실습 기간을 최소3∼6개월 이상으로 늘려야 할 필요가 있다. 교과 교육학의 경우는 우선 교과 내용학에 비해 할당된 과목의 비율이 매우 낮았다. 그러므로 교과 교육학 과목의 양적인 증가가 우선되어야 할 것이며, 지구과학 교과 교육 전공 교수의 확보가 필요하다. 교과 내용학의 경우, 다루는 내용이 중등학교 교육 과정과 동떨어진 면이 있으며 대학별로 개설 강좌의 영역별비율에서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교과 교육학 강좌와 교과 내용학 강좌를 연계시켜 개설하고, 각 영역별 기본 이수 학점을 적정 비율로 할당하는 방법을 고려해 보아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improvement plan based on an analysis of the current earth scienc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in the department of education in the four fields of teaching profession theory: student-teacher practice, subject lesson education, and subject content education. The following are the conclusion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In case of teaching profession theory, too much emphasis is put on pedagogical theory over practical issues, and a problem arises upon completion. Therefore, it is sugguest that teaching profession theory might be completed before subject lesson education to ensure more authentic subjects performing teaching profession. The current term for student-teacher training is too short to understand the whole school system. Current school system does not have any off-job training course or internship system. Therefore, student-teacher training term should be increased by at least 3∼6 months to play a vital role in the current system. The credit number of subject lesson education is too small compared with subject content education. Consequently, the credit number of subject lesson education should be increased, and more professor majored in subject lesson education should be recruited. Significant deviation between the content of subject content education and that of middle school grade exists, and there is also much difference in the ratio of subject according to university. To get rid of these problems, subject content education should be connected with subject lesson education and appropriate number of credit needs to be assigned to each subject domain.

저자
  • 김종희(전남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학부) | Kim, Jong-Hee
  • 이기영(한성과학고등학교) | 이기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