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일본의 지구과학교육 연구 동향: 학회지 『地學敎育』을 중심으로 KCI 등재

Research Trends of Japanese Earth Science Education: An Analysis of Chigakukyouiku published by Jap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459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이 연구는 일본지학교육학회가 발간한 『지학교육(地學敎育)』에 게재된 논문을 통해서 일본의 지구과학교육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1998년부터 2003년까지 6년 동안 발간한 총 129편의 논문이다. 일본의 『지학교육(地學敎育)』은 1년에 6회 발간되고 있으며, 매 학회지마다 평균 4편 내외의 논문이 게재되고 있다. 연평균 20편 내외로 꾸준하게 발간되고 있지만, 발행 횟수에 비하여 논문의 수는 비교적 적은 편이다. 이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 당 연구자의 수는 단독인 경우가 눈에 띄게 많다(약 60%). 내용별로 살펴보면, 지질학 관련 교육 논문이 가장 많으며(41.1%), 해양학 관련 교육 논문(1.6%)과 과학교육학적 논의를 한 논문(1.6%)이 가장 적다. 일본의 지구과학교육 연구의 특징을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자연 재해인 화산, 지진, 쓰나미 등을 다룬 논문이 많다. 둘째, 지역을 기반으로 한 야외 지질조사나 화석에 관한 논문이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셋째, 환경교육을 지구과학교육에 접목시키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넷째, '컴퓨터와 지구과학교육' 같은 새로운 교육 방법을 받아들이려는 노력을 보이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search trends of Japanese earth science education published in Chigakukyouiku by the Jap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A total of 129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between 1998 and 2003 were analyzed. The Journal published six issues each year, and each issue contained about four articles that were fewer numbers than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s. About Sixty percent of the papers were written by a single author. Analyzing the content of the papers, it was noted that the most articles were geology-related (41.1%) followed by oceanography-related (1.6%) and general science education papers (1.6%). In summary,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trends of Japanese earth science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topics of the papers were related to environmental sciences including earthquake, volcano, and tsunami. This trend seems natural because Japanese schools are situated within the reach of these environmental events. Second, there found many papers that dealt with geological field trip or fossils adjacent to the local community. Third, there were several papers that established a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education and earth science education. Obviously these papers tried to incorporate environmental education into earth science education at the school level. Last but not least, there found an effort to introduce computer into earth science education as an innovative educational method, for example, 'computer and earth science education'.

저자
  • 이면우(춘천교육대학교) | Lee, Myo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