곰소만 조간대 퇴적물의 장기적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1991년과 2006년에 채취된 표층퇴적물 시료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만 입구 조간대에서는 실트와 점토의 함량이 감소하고 모래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만의 중부와 상부 조간대에서는 모래와 점토의 함량이 감소하고 실트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특히 점토의 함량은 주변의 다른 반폐쇄된 조간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함량 분포를 보였으며, 1991년에 비해서도 뚜렷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퇴적물 구성성분의 뚜렷한 함량 변화는 퇴적상의 변화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매립 및 호안건설에 의한 해안선의 변형과 간조선 부근에 빽빽하게 설치된 양식장의 구조물, 그리고 곰소만 북쪽의 새만금 방조제 건설 등에 의한 수리에너지 조건의 변화에 기인한 것으로 해석된다.
In Gomso Bay, on the west coast of Korea, the surface sediments sampled in 1991 and 2006 were analysed to identify the long-term variations of tidal flat sediments. Silt and clay contents have decreased in the bay-mouth tidal flats whereas sand and clay contents have decreased on the inner-bay and bay-head tidal flats over the last 15 year period. In particular, the clay contents of the tidal flats in 2006 were relatively low when compared to those of both tidal flats adjacent to other semi-enclosed bays and those of the tidal flats in 1991. The variations of textural compositions in the tidal flat sediments have led to changes of the sedimentary facies. It indicates that the changes must have been made by the changes of hydrodynamic conditions impacted by human activities, such as the construction of sea-walls, land reclamation, structures of farms constructed compactly near the low water line, and the Saemangeum dyke constructed in the northern part of the area where this research was condu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