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성 차이 경향 파악을 위한 국내 과학 교육 문헌 분석 KCI 등재

Research Synthesis of Gender Differences in Korean Science Education Journal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462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대규모 표준화된 문항을 사용하는 과학과 국제 비교 연구에서 드러난 우리 나라 학생들의 성 차이가 국내 연구에서도 나타나는지 파악하기 위해 지난 30년 동안 과학 교육 관련 학술지인 한국과학교육학회지,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한국지구과학회지, 한국생물교육학회지, 화학교육, 새물리 등에 게재된 논문 전체를 분석했다. 젠더 문제를 연구의 주제로 한 논문은 많지 않았지만, 총 279편의 논문에서 연구 결과를 성별로 제시했다. 이 중 통계적 유의미도가 검증된 225개의 논문을 2인의 연구자가 내용 분석했다. 분석 결과는 검사 문항을 사용한 조사 연구와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 연구 등으로 구분해 경향을 파악했다. 조사 연구 논문 분석 결과, 과학 지식과 태도 모두에서 국제 비교 연구와 마찬가지로 남학생이 우월하게 나타난 논문이 가장 많았다. 특히, 과학 관련 태도에서 성 차이를 보인 논문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과학 지식, 그리고 과학 탐구 능력에서의 성 차이를 보인 논문이 가장 적었다. 실험 연구 분석 결과, 새로운 과학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있어서 성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 논문이 가장 많았지만, 프로그램 적용 후 남학생은 인지적 측면에서 여학생은 정의적 측면에서 더 효과적으로 드러난 논문이 많았다. 여학생들의 과학 성취도 향상과 과학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하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

This study analyzed all of the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six of the Korean science education journals in the past three decad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synthesis was to identify gender differences in hundreds of research articles accomplished at the personal, local, and national level that have repeatedly been reported in several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ies. There were few of articles that focused on gender issues, but 279 articles presented a result of gender issues separately. Of the 279 articles, we finally analyzed 225 research articles for a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articles were divided into two types of research method: test-based studies and experiment-based studies. The results of research synthesis in test-based studies were as follows: The largest number of studies reported male superiority in science knowledge and science-related attitude, which is similar to the results of recent international studies. In particular, gender differences were the biggest in science-related attitudes and the least in scientific process skills. The result of research synthesis in experimental studies was that the largest number of articles did not show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the effect of the applied program. It is noteworthy that the applied science education programs tend to be more effective in improving female students' scientific attitude and male students' science knowledge. It is necessary to develop more gender-inclusive science programs for female students to feel science more positively.

저자
  • 신동희(단국대학교 과학교육과) | Shin, Dong-Hee
  • 박병태(단국대학교 과학교육과) | 박병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