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8학년 학생들의 탐구 보고서에 나타난 과학방법의 특징 KCI 등재

Characteristics of Scientific Method for the 8th Grade Students‘ Inquiry Repor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468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8학년 학생들의 탐구보고서에 제시되어 있는 과학방법의 특징을 조사하려는 것이다. 문헌 연구로부터 과학의 본성을 고려하여 '과학방법과 정보출처 분석'이라는 분석들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사용하여 학생들의 '방법설계', '데이터분석', 정보출처'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분석 결과를 질문수준과 비교하여 '과학방법'이 질문수준의 영향을 받는지 조사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탐구 활동을 하면서 '과학방법'을 설계할 때 겪는 어려움을 알기 위해 실시한 설문지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결과는 첫째, '방법설계'는 자문과 활동이 있으며, 활동은 실험, 상관연구, 관찰을 말한다. 그 중에서 학생들은 '자문'으로 설계하는 경우가 많았다. 활동을 설계한 경우, 대부분의 학생들은 '실험'을 설계하였다. 둘째, '데이터분석'은 요약, 표, 도표, 그래프 등이 있으며, 학생들은 '요약' 형태로 그들의 데이터를 분석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요약'은 '단순요약'과 '관계진술'로 구분되었다. 셋째, '정보출처'는 컴퓨터, 도서관, 전문가 상담이 있으며, 대부분의 학생은 정보를 '컴퓨터'에서 구하였다. 넷째, 학생들의 '방법설계'와 '요약'은 질문수준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일부 학생들은 정보가 부족하거나 부정확할 뿐 아니라 정보에 제시된 전문 용어가 어려워 '방법설계'가 어렵다고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ighth graders' scientific method of inquiry used in their reports. We developed a framework, 'Analysis of Scientific Methods and Information Sources', with a perspective of the Nature of Science to analyze students' planning method, data analysis, and information sources. We then compared results with levels of questions to find out whether they affected students' 'Scientific Method'. In addition, we analyzed students' responses of the survey questionnaire, e.g.. how they liked Scientific Metho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lanning method' consisted of 'consultant' and 'activities'. The 'activities' were 'experiment', 'correlational study', and 'observation' Students planned by utilizing 'consultant' more than the other. In case of planning 'activities'. most of them were 'experiment' Second, 'data analysis' consisted of 'summary', 'table', 'chart', 'graph' and so on. Students analyzed their data by using 'summary' frequently. The types of 'summary' were divided into 'simple summary' and 'relational statement' Third, 'information sources' consisted of 'computer', 'library'. and 'professional consultant' Most of the students gathered information from 'computer' Fourth, the types of 'planning method' and 'summary' were affected by the levels of questions. Fifth, some of the students reported their difficulty in 'planning method' because the collected information was less reliable, lacking, and having difficult technical terms.

저자
  • 신미영(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Shin, Mi-Young
  • 최승언(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최승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