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중자력 자료를 이용한 황해 군산분지의 지질 구조 해석 KCI 등재

Analysis of a Structure of the Kunsan Basin in Yellow Sea Using Gravity and Magnetic Dat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472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황해 군산분지 지역의 지구조를 해석하기 위하여 2006년 획득한 선상 자력 자료와 Scripps 해양연구소에서 제공하는 고도계위성중력 자료를 이용하였다. 중력자료에 대해 파워스펙트럼 분석과 심도역산이 수행되었고, 자력자료 분석을 위해 분석신호기법과 가중력변환 및 이에 대한 역산을 수행하였다. 중자력 자료 분석 결과 남 중소분지 중심부로 갈수록 기반암 심도가 증가하는 양상이 나타나며, 기반암의 심도는 깊은 곳에서 6-8km, 낮은 곳에서 약 2km로 해석되었다. 또한 남중소분지 중심부이서 기반암 심도와는 달리 중력이상과 자력이상이 높지 나타나는 것은 주변 기반암보다 밀도가 높은 화성암의 관입에 의한 효과로 해석되며, 이는 동일지역에서 수행된 정밀 탄성파 해석 결과와 잘 부합하고 있다.

We studied a structure of the Kunsan basin in the Yellow Sea using ship-borne magnetic data and altimetry satellite-derived gravity data provided from the Scripps institution of oceanography in 2006. The gravity data was analyzed via power spectrum analysis and gravity inversion, and the magnetic data via analytic signal technique, pseudo-gravity transformation, and its invers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epth of bedrock tended to increase as we approached the center of the South Central Sag in Kunsan basin and that the maximum and minimum of its depth were estimated to be about 6-8 km and 2 km, respectively. Inaddition, the observed high anomaly of gravity and magnetism was attributed to the intrusion of igneous rock of higher density than the surrounding basement rock in the center of South Central Sag, which was consistent with the interpretation of seismic data obtained in the same region.

저자
  • 박계순(한국지질자원연구원 자원탐사개발연구실) | Park, Gye-Soon
  • 최종근(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최종근
  • 구준모(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구준모
  • 권병두(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권병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