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자연사박물관에서 일어나는 또래 아동간의 상호작용적 학습 양상 KCI 등재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Interactive Learning in a Natural History Museu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472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6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자율선택학습 환경인 자연사박물관에서 일어나는 또래 아동간의 상호작용적 학습에 대해 Vygotsky의 근접발달영역 개념을 토대로 살펴보았다 초등학교 3, 4학년 아동들 13쌍의 자연사박물관 관람을 녹화하여 영상물과 전사본을 바탕으로 대화를 분석하였으며 이들의 대화를 근접발달영역 발달수준에 근거하여 분석한 결과 아동들이 자신이 이미 도달해 있는 수준 내에서 대화를 나누는 실제적 발달수준 내의 대화가 압도적으로 높은 빈도를 차지하고 있었다. 각 유형별로 대표적인 대화 사례를 세 가지 근접발달영역 체계화 요소를 토대로 해석한 결과 아동들은 언어 기호를 매개로 상호작용을 하여 상호주관성을 형성하고 동일한 상황정의를 이루어 가는 과정을 통해 학습적으로 유의미한 대화를 나누고 있었다. 가장 인상적인 연구 참여쌍의 사례를 통해 아동들의 대화 내용을 과학 개념 측면에서 보다 자세히 들여다본 결과 아동들이 자신의 기존 지식과 연결짓거나 확장하고 정교화 하는 등의 모습들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연사박물관에서 일어나는 아동들의 학습의 본질을 이해하는 데 공헌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interactive learning focusing on the Vygotsky's ZPD (the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in a natural history museum as a representative free-choice learning context. We focused on the understanding of peer dyadic discourses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13 peer groups of children (3rd and 4th graders) who were videotaped all conversations occurred as they visited around the exhibits with no predetermined path. The transcribed data were analyzed by the developmental level of ZPD system and the discourse within an ADL (an actual developmental level) was overwhelmingly common in the conversations between child-child dyads. The representative discourse by discourse types were parsed according to three constructs of ZPD. Children formed the intersubjectivity through semiotic mediation such as conversations and exhibits and ended up with the similar situation definition. In conclusion, the details of discourses of the most impressive dyad were looked into focusing on the scientific concept. The study implies that a natural history museum becomes a meaningful resource to offer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children's learning as an informal learning setting.

저자
  • 김기상(한국과학창의재단) | Kim, Ki-Sang
  • 이선경(서울대학교 BK21 미래사회 과학교육연구사업단) | 이선경
  • 김찬종(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김찬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