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단어와 그림으로 표현된 8학년 학생들의 '지구'에 대한 심상에서 나타난 지구계 이해 분석 KCI 등재

An Analysis of Earth System Understandings (ESU) of 8th-grade Students' Imagery about 'the Earth' Represented by Words and Drawing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480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1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지구'에 대한 8학년 학생들의 심상을 탐색하는 것이다. '지구'에 관해 단어와 그리기로 표현된 중학생들의 심상을 지구계 이해 분석틀로 분석하였다. 학생들의 '지구'에 관한 심상은 시각적 이미지를 형성하게 된주된 영향을 미친 경험과 선행 지식에 따라 달라졌다. 특히 간접적 시각 경험에 의한 지구의 전체 모습에 기반을 둔 천문학적 관점과 직접적 시각 경험에 의한 지표의 풍경과 환경에 기반을 둔 일상적 관점에 따라 지구계 이해가 다르게 나타났다. 대체적으로 학생들의 '지구'에 관한 심상은 시각적 경험에 의해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학생들의 지구계 이해는 단어라는 형식적 언어의 형태보다는 시각적 심상인 그리기로 더 잘 표상되었다. 지구계 하위계 간의 상호작용에서 학생들의 부정적 이미지가 표상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8th-grade students' imageries of the Earth. We analyzed the middle school students' imageries about the Earth represented with words and drawings in Earth Systems Understanding (ESU, hereafter) framework. The students' imageries about 'the Earth' are vary by their experiences and prior-knowledge, which significantly impacts their imagery construction. Especially, the students' ESU were characterized into two aspects: One is a macroscopic view point based on full-objects of the Earth by indirect experiences and the other is everyday view point based on scene of the Earth surface and environment by direct experiences. Results revealed students' imageries about the Earth were impacted by visual experiences and those students' ESU were more represented by drawing as visual imagery than by words, formal language. The negative imageries were mainly represented through interactions of the Earth subsystems.

저자
  • 오현석(남대문중학교) | Oh, Hyun-Seok
  • 김찬종(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김찬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