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고등학생들과 예비교사들의 지구과학 그래프 해석 능력 및 인식 KCI 등재

Graph Interpretation Ability and Perception of High School Students and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in Earth Scien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482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6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과 예비 교사의 지구과학 그래프 해석 능력과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구과학 그래프 해석 능력을 알아보기 위한 9개 그래프 유형의 18문항으로 구성된 1개의 검사지를 개발하였으며, 지구과학 그래프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2개의 설문지를 각각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등학생과 예비교사들은 선 그래프에 대한 해석 능력은 높은 반면, 중복 그래프와 방향성 변화 그래프에 대한 해석 능력은 낮은 것으로 나타나 그래프 해석 능력이 그래프의 유형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고등학생과 예비교사 모두 학년에 따른 해석 능력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학생에 비해 예비교사가 동일한 주제의 서로 다른 표현 방법의 그래프 차이를 더 잘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수의 고등학생과 예비교사는 지구과학 그래프가 타 과학 교과와 상당한 차이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가장 많은 차이가 있는 그래프 유형은 방향성 변화 그래프, 분산 그래프, 등치선도, 영역 그래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효과적인 그래프 지도 방략에 대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raph interpretation ability and perception of high school students and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in Earth science. We developed two different instruments; one was a graph interpretation ability inventory that consists of 9 graph types with 18 items, and the other one is two questionnaires to explore the participants' perception about Earth science-related grap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High school students and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demonstrated their remarkable ability in interpreting a line graph, but showed their limited ability with the graph of overlapped and directional change, which means the graph interpretation ability was affected by a graph type; two groups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vealed a considerable difference in the graph interpretation ability depending on the grade level; preservice teachers were superior to high school students in discriminating two graphs, the representation method, which are different with the same topic; and many participants in both groups considered that the property of Earth science graph was considerably different from that of other science subjects, especially in directional change graph, scatter graph, contour map, and domain graph.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effective graph instruction strategies be developed in Earth science learning.

저자
  • 이진봉(경기북과학고등학교) | Lee, Jin-Bong
  • 이기영(강원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이기영
  • 박영신(조선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박영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