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7개 라디오존데 관측소의 2년간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레이더 빔의 진행과 관련된 과대굴절, 빔갇힘의 발생빈도를 통계 분석하였다. 과대굴절과 빔갇힘의 발생빈도는 백령도가 다른 지역에 비해 높았으며 오산과 광주는 시간대별 변화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세부적인 빔갇힘 발생빈도에서는 고산을 제외한 모든 관측소에서 지표 빔갇힘의 발생이 우세하였으며 흑산도, 고산은 상층 빔갇힘의 비율이 다른 관측소들에 비해 높았다. 계절변동에서는 전체적으로 여름이 겨울에 비해 빔갇힘 발생비율이 높았다. 빔갇힘의 발생은 봄, 가을 겨울에 백령도가 가장 우세하였으며 여름은 포항으로 나타났다. 오산과 광주는 모든 계절에서 발생빈도가 가장 적었다. 빔갇힘의 월별분포에서는 오산과 광주를 제외한 관측소에서는 00 UTC와 12 UTC 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광주, 흑산도, 고산은 월별 총 발생비율의 최대값이 60%를 넘지 않았으며 전체적인 발생비율도 다른 관측소들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빔갇힘 발생가능 레이더 관측 고도각 조사에서 KSN이 4개 고도각으로 고도각수에서 최고로 나타났으며 JNI가 고도각 1.2˚로 고도각에서 최고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는 1.0˚ 근처에서 최대 고도각이 나타났다.
The variation of atmospheric conditions including subrefraction, normal refraction, superrefraction, and ducting is an important factor that affects the quality of radar data by controling the propagation of radar beams. The occurrence frequency of the conditions is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atmospheric soundings from seven radiosonde stations in South Korea over two years. The occurrence of superrefraction and ducting at Baengnyeongdo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s. Osan and Kwangju show significant variation in time. Among the different duct conditions, the surface duct is dominant at most stations except for Gosan. The elevated duct is dominant at Heuksando and Gosan. Duct is more frequent in summer than in winter at all stations. Baengnyeongdo shows the most frequent duct in spring, fall, and winter while Pohang had the highest frequency in summer. Osan and Kwangju show least duct during all seasons. The difference of variation of monthly duct occurrence between 00 UTC and 12 UTC is insignificant at all stations except for Osan and Kwangju. Kwangju, Heuksando and Gosan show relatively low frequency of duct with the monthly maximum barely reaching 60%. The highest number of elevation angles that are affected by duct was four at Osungsan radar (KSN). The maximum elevation angle is around 1.0˚ at all stations and Jindo radar (JNI) shows the maximum value of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