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인터넷 메신저를 활용한 과학 수업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논변활동의 특성: 과학 영재 학생들의 사사과정의 사례 KCI 등재

Characteristics of Argumentation in Science Instruction Using Internet Messenger: A Case of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in Apprenticeship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484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메신저를 활용한 수업에서 이루어지는 과학 영재 학생들의 논변활동과 대화의 유형을 분류하여 수업 주제와 형태에 따라 나타나는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수업은 서울대학교 영재센터 학생 가운데 선발된 5명의 남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인터넷 메신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진행되었다. 학생들의 논변활동은 Toulmin의 논쟁 틀에 바탕을 두어 분석되었으며, 논변활동 요소의 흐름에 따라 논변활동을 유형화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의 수업 참여의 기회가 높은 수업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논변활동이 나타났으며, 전체 수업에 걸쳐 4가지의 논변활동 유형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생들의 논변 능력 향상과 교수자-학습자간의 상호작용 촉진을 위한 수업 모형의 개발과 적절한 주제 선정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argumentation characteristics in science instruction using the internet messenger was investigated.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five 9th grader in middle school in Seoul. They attended a program offered by the Science-Gifted Education Center, Seoul National University. Internet messenger (instant messenger) was used for instruction, and data were collected by saved messages. Toulmin's argument model was used as a tool for analyzing students' argumentation, and the argumentation patterns were categorized by sequence of argument opera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in case of learner-centered instructions, there were lots of relatively higher-level argumentations appeared. On the contrary, teacher-centered instruction ended up with few or lower-level argumentation. Also there were four types of argumentation patterns emerged throughout the whole instructions. Findings suggest that the development of an instruction models and the selection of an appropriate topic be necessary for promoting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as well as enhancing the students' ability of argument.

저자
  • 이고은(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Lee, Go-Eun
  • 최승언(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최승언
  • 김찬종(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김찬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