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도심 건축물 그림자효과에 의한 다중 반사도 변화와 도시지표면 열수지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Multiple Albedo Variation Caused by the Shadow Effect of Urban Building and Its Impacts on the Urban Surface Heat Budge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485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도심지 빌딩에 의한 그림자가 대기경계층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위하여 위성자료 분석과 수치실험을 실시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위성은 한국다목적위성(KOMSAT-2)의 가시자료이며, 수치모형은 다중반사도 계산을 위한 반사도 계산모형과 지표면 열수지를 계산하기 위한 오레건주립대학교 경계층 모형의 2가지이다. 위성자료 분석에서 고층빌딩이 밀집한 지역은 그렇지 못한 지역에 비하여 반사도가 최대 17% 낮게 산정되었다. 이는 건물의 그림자가 원인으로 작용한다. 그리고 반사도의 일변화는 태양고도에 따라 다르며, 정오에 가장 작은 값을 나타낸다. 건물 밀도가 높은 경우 지표면 온도가 43.5˚C까지 상승하는데 비하여 건물 밀도가 낮은 지역의 경우 지표면 온도는 37.4˚C까지 상승한다. 그러나 높은 빌딩에 따른 기계적 난류에 의하여 반사도에 의한 온도상승이 직접적으로 대기온도상승과 연결되지는 않는다.

In order to clarify the impact of variation of albedo on the atmospheric boundary layer caused by the density of building in urban areas, both satellite data analysis and numerical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Utilized satellite data were multi-spectral visible data detected by the Korea Multi- Purpose Satellite -2 (KOMSAT-2), and the numerical models for the estimation of surface heat budget are Albedo Calculation Model (ACM) and Oregon State University Planetary Boundary Layer model (OSUPBL). In satellite data analysis, the estimated albedo in densely populated building area is lower than other regions by 17% at the maximum due to the shadow effect of skyscraper buildings. The surface temperature reached 43.5˚C in the highly dense and tall building area and 37.4˚C in the coarse density area of low buildings, respectively. However, the low albedo in densely integrated building area i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increase of surface air temperature since the mechanical turbulence induced by the roughness of buildings is more critical in its impact than the decrease of albedo.

저자
  • 이순환(부산대학교 환경문제연구소) | Lee, Soon-Hwan
  • 안지숙(국립수산과학원) | 안지숙
  • 김상우(국립수산과학원) | 김상우
  • 김해동(계명대학교 지구환경학과) | 김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