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과학 교과서의 과학사 자료 분석을 위한 삼원 분석틀 개발 및 적용: 지구과학사를 중심으로 KCI 등재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ree Dimensional Framework for Analyzing the History of Science Content in Science Textbook: Focus on the History of Earth Scien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487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6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과학사는 과학 수업에서 여러 가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유용한 수단으로 간주되어 왔다.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 교과서에 사용된 과학사 자료를 효과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삼원 분석틀을 개발하고, 이 분석틀을 적용하여 제7차 교육과정의 지구과학사 자료를 분석하는 것이다. 개발된 분석틀은 수업맥락, 역할, 제시유형의 3개 차원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차원은 다시 몇 개의 하부 영역으로 세분된다. 개발된 분석틀을 이용하여 과학 교과서의 지구과학사 자료들을 분석한 결과, 분석틀의 세 가지 차원과 각각의 영역에 부합되는 과학사 자료가 과학 교과서에 다양하게 포함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삼원 분석틀의 활용을 통한 다양한 수업맥락과 목적의 조합으로 과학사교수-학습 자료의 개발을 제안하였다.

History of science (HOS, hereafter) has been considered as a useful tool for achieving a variety of objectives in science less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ree dimensional framework for effectively analyzing HOS content in science textbook. In addition, using this framework, we analyzed HOS content in science textbooks of the 7th curriculum by focusing on the history of Earth science. Developed framework consists of three dimensions; instruction context, role, and type. Each dimension has several sub-domains. The results of textbook analysis revealed that science textbook didn't include diverse HOS materials that are appropriate to three dimensions and its sub-domains of the framework. Based on the results, we proposed that three dimensional framework is an effective tool to develop materials for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of HOS with multiple coordinations of various contexts and purposes.

저자
  • 박세기(강원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Park, Se-Ki
  • 이기영(강원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이기영
  • 이면우(춘천교육대학교 과학교육과) | 이면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