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산 화산분출물의 이류와 확산 예측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3차원 대기역학 모형인 WRF와 입자 확산 모형인 FLEXPART를 결합하여 다양한 수치실험을 실시하였다. 기상자료의 시간 평균화에 따른 영향을 보기 위하여 네가지 서로 다른 평균화 기간을 가진 수치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적용된 기상자료의 평균화 기간은 각각 1개월, 10일, 3일이다. 또한 평균화를 실시하지 않은 실시간자료를 이용한 수치실험도 실시하였다. 기상자료의 평균화 시간이 길어질수록 주풍성분인 동서 방향의 운동이 뚜렷해지고, 짧을수록 주풍의 법선 방향인 남북 운동이 명확하게 나타나며, 화산분출물을 가정한 입자의 확산 역시 동일한 특성이 나타난다. 상하층의 바람은 강도의 차이가 명확하고, 평준화 기간에 따른 영향이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상층입자와 하층입자의 이동과 지상 침적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또한 한반도의 지상 침적은 방출고도 2 km 이하의 입자가 주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기상자료의 평균화 시간 간격이 화산분출물의 지상 침적을 결정하는 하나의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확산 실험 전에 적절한 기상자료의 시간평균을 결정할 필요가 있다.
In order to clarify the advection and dispersion characteristics of volcanic tephra to be emitted from the Mt. Baekdu, several numerical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using three-dimensional atmospheric dynamic model, Weather and Research Forecast (WRF) and Laglangian particles dispersion model FLEXPART. Four different temporally averaged meteorological values including wind speed and direction were used, and their averaged intervals of meteorological values are 1 month, 10 days, and 3days, respectively. Real time simulation without temporal averaging is also established in this study. As averaging time of meteorological elements is longer, wind along the principle direction is stronger. On the other hands, the tangential direction wind tends to be clearer when the time become shorten. Similar tendency was shown in the distribution of volcanic tephra because the dispersion of particles floating in the atmosphere is strongly associated with wind pattern. Wind transporting the volcanic tephra is divided clearly into upper and lower region and almost ash arriving the Korean Peninsula is released under 2 km high above the ground. Since setting up the temporal averaging of meteorological values is one of the critical factors to determine the density of tephra in the air and their surface deposition, reasonable time for averaging meteorological values should be established before the numerical dispersion assessment of volcanic teph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