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중등 과학 교과서의 동해 해류도 분석 KCI 등재

Analysis of Oceanic Current Maps of the East Sea in the Secondary School Science Textbook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493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7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해류는 기후변화와 지구상의 에너지 균형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어 정확한 해류와 순환에 대한 과학 교육의 중요성이 점점 더 강조되어 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과서 해류도의 오류를 분석하고, 가능한 원인에 대하여 토의하며, 학생들에게 동해에 관한 통일된 해류도를 어떻게 제안할 것인지 방안을 제시는 것이다. 제 7차 교육과정에 근거한 27종의 교과서를 기존의 문헌과 최근의 과학적 지식과 비교함으로써 동해 해류도의 특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조사하였다. 서로 다른 도법을 바탕으로 제작된 교과서 해류도들을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디지털 영상자료로 변환한 후 메르카토르 도법을 사용하여 새로운 영상으로 전환하였다. 대한해협에서의 대마난류 분지 양상과 대마난류의 근해 분지가 일본 연안에 얼마나 근접하여 북상하는지를 정량적으로 조사하고, 동해 극전선 이남에서 사행하는 대마난류의 외해 분지의 양상을 면밀히 분석하였으며, 우리나라 동해안을 따라 북상하는 동한난류의 북상 범위, 이안 위도도 조사하였고, 난류의 유출 양상을 쓰가루 해협과 소야 해협 부근에서 분석하였다. 또한 리만해류와 북한한류가 시작하는 위도, 남하하는 범위, 연안에 근접한 정도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외에도 교과서 해류도에 대한 잘못된 표현도 제시하였다. 이러한 분석들은 교과서 해류도의 문제점을 드러내었으며, 이는 학생들에게 오개념을 일으킬 수 있다. 본 연구는 최신의 과학적 연구 결과를 가지고 있는 과학자들과 교육 자료가 필요한 교육자들 사이에 연결 고리의 필요성도 강조하였다.

The importance of scientific education on accurate oceanic currents and circulation has been increasingly addressed because the currents have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climate change and global energy balanc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errors of the oceanic current maps in the textbooks, to discuss a variety of error sources, to suggest how to produce a unified oceanic current map of the East Sea for the students. Twenty-seven textbooks based o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were analyzed and quantitatively investigat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rrent maps by comparing with both the previous literature and up-to-date scientific knowledge. All the maps in the textbooks with different mappings were converted to digitalized image data with Mercator mapping using geolocation information. Detailed analysi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atterns of the Tsushima Warm Current (TWC) in the Korea Strait, to examine how closely the nearshore branch of the TWC flows along the Japanese coast, to scrutinize the features of the offshore branch of the TWC south of the subpolar front in the East Sea, to quantitatively investigate the northern range of the northward-propagating East Korea Warm Current and its latitude turning to the east, and lastly to examine the outflow of the TWC near the Tsugaru Strait and the Soya Strait. In addition, the origins, southern limits, and distances from the coast of the Liman Current and the North Korea Cold Current were analyzed. Other erroneous expressions of the currents in the textbooks were presented. These analyses revealed the problems in the present current maps of the textbooks, which might lead the students to misconception. This study also addressed a necessity in a bridge between scientists with up-to-date scientific results and educators who needed educational materials.

저자
  • 박경애(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해양연구소) | Park, Kyung-Ae
  • 박지은(서울대학교 과학교육과) | 박지은
  • 서강선(서울대학교 과학교육과) | 서강선
  • 최병주(군산대학교 해양학과) | 최병주
  • 변도성(국립해양조사원 해양과학조사연구실) | 변도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