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과학관 도슨트 양성 프로그램의 실태 분석 및 발전 방향 모색 KCI 등재

Analyzing the Status Quo of Docent Training Program and Searching Its Development Direction in Science Museum of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493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7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과거 과학관은 단순히 수집품 전시와 관람객들이 직접 조작할 수 있는 체험에 그쳤지만 근래 과학관은 과학관에 대한 일반인 및 학생들의 높아지고 있는 교육적 기대를 충족시키기 위한 교육을 시도하고 있다. 즉, 도슨트를 양성하고 이를 활용함으로서 관람객들의 교육적 만족도를 높이는데 노력하고 있다. 도슨트는 다양한 관람객들에게 전시품 등을 설명하고 안내하는 사람으로 관람객들의 과학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과학관을 대상으로 도슨트 양성프로그램의 장단점을 파악하여 도슨트의 전문성을 위한 국내 도슨트 양성 방향을 모색하였다. 이 연구 목적을 위해 연구 대상으로 도슨트 활동과 도슨트 양성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는 국내 4곳과 국외 4곳을 선정하고, 이 연구대상으로부터 수집한 자료(도슨트 양성프로그램, 도슨트 양성 및 관리 책임자와 활동 중인 도슨트의 현장 인터뷰, 전자메일, 그 외 문서자료)를 분석하여 비형식교육기관인 과학관의 교육적 역할에 있어서 도슨트 양성과 운영이 국내 과학교육에서 얼마나 결정적인 의미를 갖는지 알아보았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의 대중화 목적을 위한 과학관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관람객과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도슨트를 일반적 자원봉사자와 차별화하여 모집 양성해야 한다. 둘째, 도슨트 전문성을 위해서 이론적인 전시내용을 벗어난 현장에서의 실질적인 전시해설 전략을 습득할 수 있는 경력 도슨트와의 멘토링을 통해 양성 및 전문 프로그램을 개발 및 운영해야 한다. 셋째, 도슨트 교육을 위한 교재가 개발되어 학교교육에서 실행하지 못하는 과학적 소양의 요소-전시물을 이용한 과학탐구 경험을 통한 과학윤리의 습득-을 과학관에서 경험할 수 있도록 도슨트의 전문화를 실천해야 한다는 것이다.

The science museum in the past satisfied visitors only by interacting them with simple objects and exhibition, while one in modern times was requested to meet the need of visitors in their engagement in educational programs. To meet the visitors' need, the science museum made efforts to train, educate, and assign docents so that they can interact with visitors and serve the educational purpose of visitation.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strengths and weakness of docent training programs from science museums/science centers nationally and internationally, to make implication on how to design a docent training and professional program. Programs from four national and four international science centers/museums were selected as a sample for analysis. Their docent training programs were compared with the data of surveys and interviews and emails from docents and docent managers/evaluators. Artifacts and documents of the docent training programs were also collected and used to construct the validity in analyzing the data, resulting in the well-developed docent training program as the critical one for enriching science museum education. The results included; First, we need to recruit and train docents who interact visitors directly but they need to be differentiated from regular volunteers for promoting science museum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popularization of science. Additionally, Second, we need to develop and run docent training program where docents can experience 'informal learning' exhibition interpreting strategies through the real field from mentoring from the experienced/senior docents beyond 'formal learning' exhibition content. Third, we need to equip docents with skills to make scientific literacy possible at science museum-such as experiencing scientific ethics through scientific inquiry-which happens limited at school education.

저자
  • 박영신(조선대학교 지구과학교육) | Park, Young-Shin
  • 이정화(조선대학교 지구과학교육) | 이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