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Oxygen Isotopic Ratios for Ultramafic Xenoliths from the Korean Peninsula KCI 등재

한반도 초염기성 포획암의 산소동위원소 비율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499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한반도에서 산출되는 초염기성 맨틀포획암의 지화학적 특징과 평형 온도와 압력 조건을 계산하고, 산소동위원소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1) 한반도 맨틀포획암은 전형적인 초염기성 포획암(MgO: 49.12-50.95 wt.%, Mg값: 90.1-92.2)으로 구성되어 있다. (2) 한반도 맨틀포획암의 평형온도는 854-1016˚C이고, 압력은 4.6-24.4 kbar로 얻어졌다. (3) 맨틀포획암을 구성하는 감람석의 산소동위원소비(δ18Ool)는 5.06-5.51‰의 균질한 값으로 N-MORB와 상부 맨틀 감람석의 값(δ18O: 5.2±0.2‰)과 유사하다. 그러나 백두산과 제주도의 맨틀포획암을 구성하는 감람석의 산소동위원비는 각각 5.07-5.51‰과 5.07-5.45‰로 상대적으로 넓은 범위의 δ18O 값을 갖고 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백두산 맨틀포획암의 높은 δ18O가 맨틀포획암 물질에 재순환된 퇴적물원 EM2 물질의 혼입 때문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equilibrium temperature and pressure conditions, and oxygen isotopic ratios of mantle xenoliths from the various geological sites of the Korean peninsula.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ultramafic xenoliths from the Korean peninsula mainly consist of typical high magnesium olivine (MgO : 49.12-50.95 wt.%, Mg value: 90.1-92.2), corresponding to worldwide Cenozoic ultramafic xenoliths in chemical compositions. (2) The pressure-temperature conditions of ultramafic xenoliths in the Korean peninsula are from 854 to 1016˚C and 4.6 to 24.4 kbar. (3) The oxygen isotopic ratios (δ18O) for olivines in ultramafic xenoliths range from 5.06‰ to 5.51‰, which are relatively uniform oxygen isotopic values and overlapped by the values of N-MORB and upper mantle peridotite (δ18O: 5.2±0.2‰). However, olivines of the ultramafic xenoliths from the Baegdusan and Chejudo have a relatively wide δ18O values ranging from 5.07 to 5.51‰ and 5.07 to 5.45‰, respectively.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high δ18O signature of the Baegdusan xenoliths give a hint that ~5% of the oxygen in typical EM2 sources originally derived from recycled sediments.

저자
  • Lee, Jeong-A(서울교육대학교 창의융합교육연구센터) | 이정아
  • Kim, Kyuhan(이화여자대학교 과학교육과) | 김규한
  • Lee, Jong-Ik(극지연구소 극지지구시스템연구부) | 이종익
  • Choo, Mikyung(이화여자대학교 과학교육과) | 추미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