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고성 뒤배재 현무암은 산출상태, 구성광물, 주성분원소 및 미량원소의 특징에 의해 하부 현무암과 상부 현무암으로 구분된다. 하부 현무암은 집괴암의 특징을 보이고, 맨틀 및 지각기원의 포획암과 감람석, 휘석, 사장석 포획광물이 있다. 상부 현무암은 주상절리로 산출되며, 맨틀 포획암이 상대적으로 더 많고, 포획광물로는 감람석이 우세하다. 현무암의 주성분원소 및 미량원소 분석 결과 상부 현무암은 하부 현무암에 비하여 초생 마그마에 가까운 조성을 보인다. 원시맨틀로 표준화한 미량원소 및 희토류원소의 부화 및 결핍 패턴은 두 현무암이 매우 유사하나, 하부 현무암이 상부 현무암 보다 LREE의 부화 정도가 더 크다. 뒤배재 화산체의 하부 현무암은 약 0.8-1.2%, 상부 현무암은 약 3.7-4.0%의 동일한 맨틀 물질인 석류석 페리도타이트의 배취 용융으로 형성되었다. 그리고 하부 현무암내의 포획된 화강암, 포획광물의 반응연 및 사장석, 석영 등의 포획광물은 하부 현무암을 형성한 마그마와 지각물질과의 동화 가능성을 지시한다.
Duibaejae basalts from Goseong, Gangwon-do, are divided into the lower basalt and the upper basalt depending on the properties, such as occurrence, mineral compositions, and major and trace compositions of the basalts. The lower basalts have characteristics of agglomerate rocks as well as contain, crustal and mantle xenoliths, and olivine, pyroxene, and plagioclase xenocrysts. The upper basalts with columnar joints contain relatively more mantle xenolith and olivine xenocryst than the lower basalts. The major and trace element compositions suggest that the composition of the upper basalts is close to primary magma composition. Enrichment and depletion patterns of the trace and the rare-earth elements of the lower basalts are similar to those of the upper basalts, whereas the lower basalts are more LREE enriched than the upper basalts. The source magmas of the lower and upper basalts from Duibaejae volcanic edifice were generated from about 0.8-1.2% and 3.7-4.0% batch melting of garnet peridotite, respectively. The abundance of granite xenolith, and plagioclase and quartz xenocrysts with reaction rim indicates that the lower basalts, compared with upper basalts, might have been assimilated with the crustal materials during ascending to surf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