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황해 남동부 흑산니질대 퇴적물의 분포, 지화학적 조성 및 퇴적물 기원지 KCI 등재

Distribution Pattern, Geochemical Composition, and Provenance of the Huksan Mud Belt Sediments in the Southeastern Yellow S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501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6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대부분 니질 퇴적물로 구성된 황해 남동부 흑산니질대 퇴적물의 기원지를 밝히기 위해 퇴적물 시료에 대해 주성분 원소와 희토류 원소(REE)를 분석하였다. 표층 퇴적물 시료는 흑산니질대 내 51지점에서 피스톤식과 박스형 시료 채취기로 획득하였다. 흑산니질대의 표층퇴적물은 니 퇴적물이 우세하게 나타나며, 평균입도는 5-6φ이다. 공간적으로 북쪽지역은 실트함량이 높고, 남쪽지역으로 갈수록 점토함량이 증가한다. 흥미롭게도 주성분 원소와 희토류 원소 함량 특성은 퇴적물 기원 해석에 있어 다른 결과를 가져왔다. Fe/Al과 Mg/Al 함량 비, Al2O3와 MgO 함량 비, Al2O3와 K2O를 각각 도시한 결과, 흑산니질대 퇴적물은 한국 기원의 퇴적물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희토류 원소의 특성은 중국 기원의 퇴적물이 우세함을 반영한다. 이러한 기원 불일치는 각 원소의 함량 조절요인이 다르기 때문이다. 주성분 원소는 입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고려할 때 입도에 따라 그 함량이 영향을 받는 것으로 해석된다. 반면에 희토류 원소는 입도와는 상관관계가 낮으며, 중광물 함량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와 같이, 각기 다른 추적자에 따른 기원의 불일치를 해결하기 위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In order to determine the provenance of the Huksan Mud Belt sediments in the southeastern Yellow Sea, the major and rare earth elements of the same sediments were analyzed. The surface sediments were sampled from top of piston-cores and box-cores taken at 51 sites within the Huksan Mud Belt. With the mean grain size of 5-6φ, the sediments of the study area are mud-dominated.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show that silt content is high in the northern Mud Belt, whereas clay content increases as it moves toward the southern Mud Belt. Interestingly, the geochemical compositions both of major and rare earth elements have resulted in differences of sediment provenance. Among the major elements, plots of Fe/Al vs. Mg/Al ratios, Al2O3 vs. MgO ratios, and Al2O3 vs. K2O reveal that the Huksan Mud Belt sediments are dominated by the Korean river-derived sediments. However, the characteristics of rare earth elements infer sediments originating from the Chinese rivers. This discrepancy between the above provenances is attributed to the different contributory factors in the content of chemical elements. Considering strong correlation between major elements with grain sizes, the contents of the major elements are thought to be influenced by the grain size. However, there is a weak correlation between rare earth elements and grain sizes. The behaviour of rare earth elements may be controlled by heavy minerals, rather than grain sizes. Further study requires to solve the discrepancy arose from the difference in applied chemical tracers.

저자
  • 하헌준(전남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 Ha, Hun Jun
  • 전승수(전남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 전승수
  • 장태수(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해저지질연구실) | 장태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