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지형 요소를 고려한 백두산 지역의 위험도 분석 KCI 등재

Analyzing the Disaster Vulnerability of Mt. Baekdusan Area Using Terrain Facto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504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대부분의 급경사지의 붕괴는 지형적으로 불안정한 지역에서 발생한다. 백두산은 전형적인 산악 지역으로 잠재적 폭발 가능성을 지닌 활화산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백두산지역의 수치고도모형을 이용하여 지형요소와 선구조선 분석을 통해 재해 위험도를 작성하였다. 취약도 분석에 사용되는 요소는 지형으로부터 산정된 방위도, 경사도, 상부사면기여면적, 접선구배곡률, 윤곽구배 곡률, 습윤지수의 분포를 이용하였다. 더불어 선구조의 선밀도도를 작성하여 재해 위험도를 평가하는데 이용하였다. 지형요소를 이용한 백두산지역의 재해위험도 분석 결과 남쪽 내지 남서부 지역의 재해 위험도가 4-5등급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

Most steep slope failures tend to take place in geographically unstable areas. Mt. Baekdusan is known as a potentially active volcano in a typical mountainous terrain. This study prepared a digital elevation model of Mt. Baekdusan area and created a hazard map based on topographical factors and structural lineament analysis. Factors used in vulnerability analysis included geographical data involving aspect and slope distribution, as well as contributory area of upslope, tangential gradient curvature, profile gradient curvature, and the distribution of wetness index among the elements that comprise topography. In addition, the stability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lineament intensity map. Concerning the disaster vulnerability of Mt. Baekdusan region, the south and south west area of Mt. Baekdusan has a highest risk of disaster (grade 4-5) while the risk level decreases in the north eastern region.

저자
  • 최은경(주식회사 GI) | Choi, Eun-Kyeong
  • 김성욱(주식회사 GI) | 김성욱
  • 이영철(부산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이영철
  • 이규환(건양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이규환
  • 김인수(부산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 김인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