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과학글쓰기를 활용한 학생주도 모둠 탐구활동에 의한 초등 과학 수업 변화 탐색 KCI 등재

Exploring Changes in Elementary Science Class Using Student-Oriented Group Inquiry with Science Writ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506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탐구를 도모하는 과학글쓰기를 이용한 학생주도적 모둠 탐구활동을 실시한 과학수업에서 나타난 변화를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의 활동 보고서,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 담화유형을 변화의 핵심으로 보았다. 학생들의 탐구활동에서 비계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과학 글쓰기 활동지를 개발하여 초등학교 4학년 1학급 29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학생주도적 모둠 탐구활동에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모둠 탐구활동은 2007 개정교육과정 4학년 1학기 4개 단원에서 총 16차시 수업을 실시하였고, 이를 모두 녹화하였다. 우선 학생 보고서를 분석하기 위해 Millar (2010)가 제시한 분석틀을 이용하여 과학탐구 정합성 평가의 틀로 활용하였다. 두 번째로 학생의 과학 수업 및 과학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비교반 1개 반을 선정하여 과학수업 및 과학에 대한 인식을 사전 사후 비교하였다. 마지막으로 16차시 수업 중, 초기 수업과 말기 수업에서의 교사와 학생 간의 담화 형태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결과 통해 학생의 질문과 주장 사이의 정합성은 초기보다 말기에 증가했고, 학생의 자신의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이 좀 더 학생 중심 쪽으로 이동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담화의 유형이 더욱 교사중심보다는 학생중심에 가까워졌음을 발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changes of elementary science class in student oriented group inquiry activities using a Science Writing Heuristic (SWH) template that enhance scaffolding of inquiry. The changes focused on students' written reports and perceptions of their learning environment as well as discourse patterns. One fourth-grade class of 29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a developed work sheet of science writing was utilized to scaffold student's inquiry activities. Four units in the first-semester text book for fourth grade of the-, 2007 Educational Curriculum Revision were chosen for scaffolding inquiry, and sixteen lessons of instruction were all videotaped. For investigating students' written reports, a framework based on the aspects of science inquiry by Millar (2010) was used to evaluate the coherence between student inquiry activities and their claims. Secondly, a regular fourth-grade class was selected as the control group and was compared with the experiment group using the pre- and post-test of the survey on the perception of science class and science. Lastly, students' discourse patterns of the beginning science lesson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closing lesson. We found that the coherence in the last class increased significantly in students' written reports compared to the first one. Findings also indicated that students' perceptions on their learning environment moved toward student-centered. Based on our discourse patterns analysis, the last class was more student-centered from being teacher-centered than the first one.

목차
 서 론  연구방법 및 절차   연구 대상과 기간   연구 방법   탐구수업 활동지 개발  연구 결과 및 논의   학생들의 활동지에 나타난 탐구질문과 결과의 정합성 분석   과학 수업 및 과학에 대한 인식 변화   초등 과학수업담화 분석   시간의 흐름에 따른 수업 분석   과학수업담화 유형 분석   수업 초기에는 발견되었으나 수업 말기에는 발견되지 않은 유형   수업 초기에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수업 말기에발견된 담화의 유형  결론 및 제언  사 사  References
저자
  • 신명경(경인교육대학교 과학교육과) | Shin, Myeong-Kyeong
  • 김종영(인천운서초등학교) | 김종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