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천리안 수증기 영상을 이용한 태풍진로의 전향위치 예측 연구 KCI 등재

Study on the Prediction of Turning Point of Typhoon Tracks using COMS Water Vapor Imag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507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관측주기가 짧은 천리안 위성의 수증기 영상자료를 활용하여 태풍의 전향위치와 시간까지 예측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즉 수증기의 위성영상의 건조슬롯과 제트류의 남북진동의 관계를 이용하여 태풍진로의 전향위치를 보다 정확히 예측하는 것이다. 제트류는 제트스트리크의 위치와 지균풍 Υ성분의 크기에 따라 움직이는데, 지균풍 Υ 성분이 남쪽방향으로 강화되면 제트류는 원형 제트로 발달하게 된다. 이때 수증기 영상에서는 건조슬롯이 남쪽으로 확대되고, 굴곡수분밴드(CMB) 거리가 좁혀지기 때문에 태풍이 전향하게 된다. 굴곡수분밴드가 위도 15˚ 이하이면 24시간 내에 태풍이 북 또는 북동으로 전향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태풍진로는 건조슬롯의 위치가 32˚N 이하이면 20-23˚N이하에서 전향(2007년 1호 태풍 콩레이와 2012년 17호 태풍 즐라왓)하고, 건조슬롯이 35˚N 이상 일 땐 27˚N에서 전향(2007년 4호 태풍 마니)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focuses on the prediction time and location of turning-point of typhoon tracks using the water vapor images of Communication, Ocean and Meteorological Satellite (COMS) which has a very short observation interval. It targets a more accurate prediction of turning-point of typhoon tracks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dry slot and northern/southern oscillations of jet stream. Jet stream moves by the position of jet streak and the Υ-component velocity of geostrophic wind. If the Υ-component of geostrophic wind gets stronger toward south, jet stream develops into a circular jet. In that condition, dry slot in satellite water vapor imagery extends toward south, and typhoon track turns as the distance of curved moisture band (CMB) gets narrowed down. If the interval of CMB is below 15˚ of latitude, the typhoon track is turning toward north or northeast within 24 hours. As a result, typhoon track showed that when dry slot position was located less than 32˚N, typhoon turned its track at 20-23˚N (1th Kong-Rey 2007 and 17th Jelawt at 2012), and when in 35˚N above, it turned at 27˚N (4th Man-yi 2007).

목차
 서 론  자료 및 분석  태풍진로의 전향 위치 분석   체계적 접근 분석  수증기 영상의 암역에 의한 분석   암역(dry slot)  수증기 영상에서의 전향위치 분석   사례 분석   제트류의 발달   제트류와 수증기 영상의 변화  태풍 적용 사례   태풍 1호 콩레이 분석   태풍 4호 마니 분석   COMS 위성을 통한 태풍 17호 즐라왓 분석   암역과 SA의 비교 분석  감사의 글  결 론  References
저자
  • 김종석(경북대학교 천문대기과학과) | Kim, Jong-Seok
  • 윤일희(경북대학교 지구과학교육전공) | 윤일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