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3차원 지질모델링을 이용한 가곡광산 광상 포텐셜 지도 작성 KCI 등재

Mineral Potential Mapping of Gagok Mine Using 3D Geological Model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509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효과적인 광물자원 탐사 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광물자원의 포텐셜 지도 구축 연구를 수행하였다. 대상 지역은 광상 성인모델이 알려진 가곡광산으로 선정하였다. 성인모델을 바탕으로 관계화성암, 단층, 탄산염암 등의 지질학적 요인들을 평가 인덱스로 선정하였다. 각 요인들과 광체간의 공간적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각 지질 구조 들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가중치를 해석, 가곡광산에 대한 포텐셜 지도를 구축하였다. 해석된 포텐셜 지도는 현재 알려진 광체의 위치에서 높은 포텐셜 값을 갖으며, 높은 포텐셜 영역의 패턴 역시 광체 패턴과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 결과는 추후 수행될 자원 탐사 시 현재 알려진 광체와 유사한 지질환경을 갖는 영역을 효과적으로 제시할 수 있기 때문에 그 효용성이 높다 할 수 있다.

In order to develop an effective mineral exploration technique, this study was carried out about the potential mapping of Gagok mine. The deposit model of Gagok mine is widely known. Based on the deposit model, we constructed mining indicator indices using related igneous rocks, faults, and carbonate rocks. By analyzing the spatial correlation between ore and indicator index structures, we decided the weighting values of indices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index structure. The 3D potential mapping was performed using 3D geological model and geological indices. The analyzed potential map verified that the locations and patterns of high potential regions of the results were well matched with those of the known ore bodies. Using the potential mapping results, we could effectively predict the location of a high potential area that has similar geological settings with ore.

목차
 Methodology
저자
  • 박계순 | Park, Gyesoon
  • 조성준 | 조성준
  • 오현주 | 오현주
  • 이창원 | 이창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