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본사의 두 석조문화재 관봉 석조여래좌상과 삼층석탑의 석재들은 암석기재적으로 거의 동일한 특징을 보인다. 즉, 회백색의 조립질로서 반상조직을 보이는 화강암이며, 주 구성광물은 사장석, 알칼리장석, 석영, 흑운모, 각섬석, 녹니석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런 기재적 특징들은 선본사가 위치한 팔공산 화강암체 서남부의 화강암 노두에서 확인되는 것과도 유사다. 모드조성에서는 석조여래좌상의 경우 몬조화강암에 속하나 삼층석탑 및 인근 화강암 노두의 암석은 섬장화강암과 몬조화강암의 양쪽 조성을 나타낸다. 전암대자율 측정값을 보면 관봉석조여래좌상, 삼층석탑, 선본사 인근화강암 노두에서 각각 10-14, 10-15, 9-16(×10-3 SI)의 범위를 보여 거의 동일하며, 자철석계열의 팔공산 화강암을 나타낸다. 감마스펙트로미터 측정값에서도 세 암석에서 K, eU, eTh의 함량들이 거의 유사한 범위에 속한다. 결론적으로 선본사의 관봉 석조여래좌상과 삼층석탑은 팔공산 화강암으로 만들어졌으며, 주변 지역의 화강암체가 그 원산지라고 추정된다.
The rock materials from the two stone heritages in the Seonbonsa temple, Gwanbong Seokjoyeoraejwasang (stone Buddha) and three-storied Stone Pagoda, show almost identical petrographic characteristics. They are greyish white porphyritic granites which mainly consist of plagioclase, alkali feldspar, quartz, biotite, hornblende, and chlorite. The rocks from the both heritages are petrographically similar to those from the outcrops of the Palgongsan granite near the temple. Modal compositions exhibit that the rocks from the stone Buddha belong to monzogranite, whereas those from the pagoda and the outcrop near the temple correspond to syeno- to monzo granite. Whole rock magnetic susceptibility data indicate that the rocks from the stone Buddha, the pagoda, and the outcrop have nearly the same susceptibility values ranging 9-16(×10-3 SI). Gamma spectrometer data obtained from these rocks also demonstrate the same value range. In conclusion the two stone heritages in the Seonbonsa temple were made of the Palgongsan granite surrounding the temp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