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수도권 지역에서 기상-대기질 모델링을 위한 VOC와 PM2.5의 화학종 분류 및 시간분배계수 산정 KCI 등재

Estimation of Chemical Speciation and Temporal Allocation Factor of VOC and PM2.5 for the Weather-Air Quality Model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511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8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휘발성 유기화합물(VOC)과 먼지(PM)의 배출원 프로파일로부터 화학종 분류를 할당하고, 성김 행렬 조작자 핵심 배출량 시스템(SMOKE) 내에 배출원 분류코드에 따른 배출원 프로파일의 화학종 분류와 시간분배계수를 수정하는 것이다. 기솔린, 디젤 증기, 도장, 세탁, LPG 등과 같은 VOC 배출원 프로파일로부터 화학 종 분류는 탄소 결합 IV (CBIV) 화학 메커니즘과 주 규모 대기오염연구센터 99 (SAPRC99) 화학 메커니즘을 위해 각각 12종과 34종을 포함한다. 또한 토양, 도로먼지, 가솔린, 디젤차, 산업기원, 도시 소각장, 탄 연소 발전소, 생체 연소, 해안 등과 같은 PM2.5 배출원 프로파일로부터 화학종 분류는 미세 먼지, 유기탄소, 원소 탄소, 질산염과 황산염의 5종으로 할당하였다. 게다가 점 및 선 배출원의 시간 프로파일은 2007년 수도권 지역에서의 굴뚝 원격감시시스템(TMS)과 시간별 교통 흐름 자료로부터 구하였다. 특별히 점 배출원에 있어 오존 모델링을 위한 시간분배계수는 굴뚝 원격감시시스템 자료의 NOX 배출량 인벤토리에 근거하여 추정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ign emission source profil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and particulate matters (PMs) for chemical speciation, and to correct the temporal allocation factor and the chemical speciation of source profiles according to the source classification code within the sparse matrix operator kernel emission system (SMOKE)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 chemical speciation from the source profiles of VOCs such as gasoline, diesel vapor, coating, dry cleaning and LPG include 12 and 34 species for the carbon bond IV (CBIV) chemical mechanism and the statewide air pollution research center 99 (SAPRC99) chemical mechanism, respectively. Also, the chemical speciation of PM2.5 such as soil, road dust, gasoline and diesel vehicles, industrial source, municipal incinerator, coal fired, power plant, biomass burning and marine was allocated to 5 species of fine PM, organic carbon, elementary carbon, NO3-, and SO42-. In addition, temporal profiles for point and line sources were obtained by using the stack telemetry system (TMS) and hourly traffic flow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for 2007. In particular, the temporal allocation factor for the ozone modeling at point sources was estimated based on NOX emission inventories of the stack TMS data.

목차
 서 론  자료 및 연구방법   자료   화학메커니즘별 화학종 분류에 따른 질량 분율과몰 분배계수 산정법  연구 결과   화학 메커니즘별 VOC 및 PM2.5의 화학종 분류   배출원별 월별, 요일별, 시간별 시간분배계수 산정  결 론  References
저자
  • 문윤섭(한국교원대학교 환경교육학과) | Moon, Yun Seob